(추가)이하나양 참고 자료
제 블로그에 있는 "미디어의 철학" 중
- "하이퍼텍스트, 가상현실"
- 미디어론의 예언자 마샬 맥루한
'생성 이미지' 디지털시대 대중의 취향 예고
[진중권의 상상] <3>복제에서 생성으로
http://news.hankooki.com/lpage/culture/200706/h2007061117464386330.htm
[진중권의 이매진] 시뮬라시옹으로서의 대통령 - <J.F.K>
케네디 암살 의혹의 보드리야르적 재구성
http://www.cine21.com/Article/article_view.php?mm=005004007&article_id=49651
[기사] "보드리야르는 '호기심' 그 자체였다"
http://media.daum.net/culture/art/view.html?cateid=1021&newsid=20070308100809301&p=pressian
역설과 냉소로 미디어를 조망하다
[기고] 고 장 보드리야르의 생애와 사상
http://www.mediatoday.co.kr/news/articleView.html?idxno=55188
‘세계화’와 ‘과잉 시뮬라시옹’의 시대를 응시하기
- 장 보드리야르와의 대담
http://www.kbi.re.kr/report/programview.jsp?book_no=12&book_seq=119&menucode=3/1/2
특히 "장 보드리야르와의 대담"에는 "걸프 전은 일어나지 않았다"라는 의미가 무엇인지 정확히 설명되어 있으니 어려우면 그 부분만 찾아서 읽어보시길.
"현실" 개념에 대해서는 칸트의 "코페르니쿠스적 전환" 이후 인식 방식이 어떻게 달라졌는가를 참조할 것.
그리고 니클라스 루만의 "매스미디어의 현실"에서 말하는 "현실" 개념이 어떤 것인지 찾아 볼 것.
추가)
- 프랑스 보르도 대학에 있는 한국인 교수가 쓴 글인데, 리얼리티쇼의 전개과정에 대한 유익한 정보를 담고 있다.
매트릭스 시대의 리얼리티 쇼: CBS의 <서바이버>를 중심으로
http://www.kbi.re.kr/report/programview.jsp?book_no=9&book_seq=90&menucode=3/1/2
- 리얼리티쇼에 대한 사례 분석
텔레비전 프레임(Frame of Television)
http://www.kbi.re.kr/report/programview.jsp?book_no=9&book_seq=89&menucode=3/1/2&midmenucode=
- 리얼리티쇼에 대해 이야기하기 위해서는 TV 매체가 지닌 특성에 대한 고찰이 필요하다고 봄.
- 흔히 커뮤니케이션을 '발신자'-'매체'-'수신자'로 이어지는 모델로 이해하지만, 독일의 사회학자 루만은 이 모델의 한계를 지적하며 '정보'-'전달'-'이해'의 과정으로 커뮤니케이션을 이해하고자 한다. 이에 대한 간략한 내용을 소개한 짧은 글.
Benjamin_Kunstwerk 강유원 번역팀.doc
- '아우라' 개념이 나오는 발터 벤야민의 '기술 복제 시대의 예술작품' 번역본. 반성완 본, 이태동 본, 최성만 본 등 여러 번역본이 존재하지만, 그 중 반성완 번역본이 가장 나은 것으로 알려져 있음. 그래도 많이 인용되는 글이니 부족하나마 이 번역본을 참고할 것.
심혜련 - 발터 벤야민(Walter Benjamin)의 아우라(Aura) 개념에 관하여.hwp
- 아우라 개념에 대한 소개. 특히 아우라 개념을 벤야민이 어떻게 정의하고 있는가 하는 부분만 참고할 것.