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신자와 영웅에 관한 논고
남미 포스트 모더니즘의 선두로 일컬어지는 보르헤스.
그의 소설에는 다양한 해석이 내려질 수 있는 여지가 풍부하다. 소설 "배신자와 영웅에 관한 논거"에서도 우리는 다양한 해석을 내려 볼 수 있었다. 이런 다양한 해석을 통해 독자는 더 큰 재미를 느끼게 될 것이다. 원문에서 보여지듯이 그의 작품은 매우 짧게 되어 있다. 그러나 그의 소설은 이해하기 쉽지 않다. 따라서 우리는 그의 소설과 그의 소설을 영화화한 베르톨루치 감독의 "거미의 계략"과의 비교를 통해 다양한 해석을 시도해 보도록 할 것이다.
Ⅰ. 소설 속으로의 접근 소설원문 click here~!(배신자와 영웅에 관한 논고)
1. 보르헤스의 경향
1) 세계주의 보르헤스의 작품들이 섭렵하고 있는 작중 무대와 작중 인물들은 전세계에 걸쳐 있다. 또 한 당시 남미 문학의 특징과는 달리 사회학적 메시지를 담고 있는 아메리카주의나 지방주의의 색채를 띠고 있는 작품은 거의 없다. 이 작품(배신자와 영웅에 관한 논거)에서는 아일랜드를 배경으로 하고 있지만 이는 서술의 편의상 그렇게 한 것일 뿐 소설의 무대는 억압을 받아온 어느 나라라도 될 수 있다고 보르헤스는 적고 있다.
2) 대중 예술과 전통 문학과의 결합 탐정소설의 형식을 도입하고 영화 예술적 요소인 cut 구성 방식을 사용하고 있다. 진지하고 심각해 보이는 전반부는 그다지 중요하지 않고(그의 소설이 길지는 않지만) 작품의 후반부에 대반전이 일어나거나 주제가 등장한다. 오히려 난해한 전반부는 보르헤스식의 트릭일 뿐이다. 오락소설의 한 기류라고 할 수 있는 그러한 탐정소설의 기법의 도입은 첫째로, 관념론적 대상에 탐구를 탐정 소설의 장치인 비밀 찾기, 수수께끼 풀기 속에 담음으로써 그러한 탐구의 내용이 구체적으로 되게 만들고, 둘째로, 결과보다는 과정을 중시하는 탐정소설의 구조가 끝내 알 수 없는 존재의 비밀 그 자체보다는 그 비밀을 추적해 나가는 과정에 무게를 싣고 있는 보르헤스의 세계관과 완벽하게 일치하기 때문이다. 또한 그의 작품에서는 전통적 소설의 구성 방식을 무시하고 과거와 현재 또는 다른 장소로의 이동이 영화처럼 극도로 단편적인 구성을 지니고 있다. 이 작품에서도 마지막의 반전에서 진실이 드러나나 그 진실에 대한 은폐라든가 소설 구성이 과거와 현재를 넘나드는 것에서 그러한 것들을 쉽게 발견할 수 있다.
3) 환상적 사실주의 환상적 사실주의란 매우 특수한 텍스트 기법을 통해 추상이나 환상을 사실로 인지케 하거나 반대로 아주 특수한 사실적인 것을 환상으로 착각하도록 만드는 문학 양식이다. 이 작품에서도 브라우닝과 빅토르 위고의 시와 컬패트릭과 어떤 관계가 있다고 말하나 컬패트릭에 얽힌 사건을 조명하는 브라우닝과 위고의 시는 없다. 이처럼 그의 소설에서는 현실과 환상, 실제와 거짓이 마구 섞여 있어서 어느 것이 실제이고 어느 것이 보르헤스가 꾸며낸 것인지를 분간하기가 쉽지 않다. 이처럼 그가 사실과 환상을 섞은 이유로는 기존의 절대적인 진리에 대한 그의 불신을 들 수 있다.
4) 상호 텍스트성 보르헤스는 문학이란 무에서 유를 창조하는 것이 아니라 유에서 유를 창조한다고 주장했다. 그는 하늘아래 〈하늘 아래 새로운 것은 없다.〉라는 말처럼 새로운 이야기가 있을 수 없으며 모든 이야기는 다른 이야기의 변형일 따름이며 현재의 이야기는 과거 이야기의 또 다른 판본에 불과하다고 보았다. 따라서 그는 문학에 있어서의 문제는 새로운 이야기의 창출이 아닌 기존에 있는 이야기를 어떤 방법으로 재편성, 재해석하느냐라고 주장했다. 이 작품에서도 멕베드 이야기, 줄리어스 시저, 성경 등의 이야기를 언급하고 있다. 즉 이런 것들을 통해서 그는 문학 속에서 얼마나 많이 말할 것이 남아 있으며 또 얼마나 많은 재료가 있는가를 보여준다.
2. 소설속의 인물..그 내면의 세계로
1.컬패트릭 아일랜드 반란 음모자들의 우두머리로 직속 부하인 놀란에게 내린 지시에 의해 결국 집단내의 배신자로 판명된다. 이 작품에서 컬패트릭은 제목에서처럼 배신자인 동시에 영웅이 되는 인물로 작품 내에서 중심이 되는 인물이다. 보르헤스 문체의 특성상 그의 성격, 특성이나 배신을 하게 된 동기, 놀란에게 배신자를 색출해내라는 명령을 한 이유는 유추해 내기 힘들지만, 자신의 명예를 지키기 위해, 조국의 미래를 위해 잘 짜여진 하나의 각본대로 최후를 맞이하는 것에서 인간의 이중성을 엿볼 수 있다.
2.놀란 컬패트릭의 영웅적인 최후를 조작한 인물로 이 작품상에서는 사건의 전개에 있어 중요한 역할을 하는 인물이다. 자신의 우두머리가 배신자임을 밝혀내고 나서도 조국의 앞날을 위해 잘 짜여진 각본을 만들어 내는 그는 어떤 측면에서는 상황 판단력이 뛰어난 사람으로 볼 수 있다. 하지만 그는 진실을 왜곡시키며 대중을 기만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의 행동의 정당화 될 수 있었던 이유, 라이언이 이를 눈감아 줄 수 있었던 이유는 무엇일까? 이 작품에서 놀란은 영웅 신화를 바라는 일반 대중들의 심리를 상황에 잘 적용시켰으며 이를 통해 조국의 해방을 가져온 진정한 의미의 영웅이라고 볼 수 있다.
3.라이언 컬패트릭의 증손자로 증조부 컬패트릭에 관한 전기를 편찬하는 과정에서 베일에 가려진 진실을 밝혀내는 인물로 작품을 전개시키며 정리해 나가는 중요한 역할을 한다. 영웅인 줄로만 알았던 증조부에 대한 진실을 알게 된 그는 불행한 인물임에 틀림없다. 작품에서 그가 사건의 진상을 밝혀나가는 것은 작품에 추리 소설적 요소를 더해준다. 진실을 알게 되었지만 이를 알고서도 입을 다물 수 밖에 없었던 라이언은 절대적 진실의 부재를 여실히 증명해 주는 인물이다. 그가 원했던 원치 않았던 그도 결국은 놀란의 계획에 동참한 사람이다. 그리고 마지막에 그가 증조부에 관한 숨겨진 이야기를 세상에 알리지 않고 증조부에게 바치는책을 한 권 출판해 내는 대목은 독자에게 새롭게 화두를 던지는 부분이다. 영웅 신화에 대한 환상을 깨지 않으려는 라이언의 자기 기만적 행위는 현대를 살아가는 우리 모두의 모습일 지도 모른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