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크랩] “바로크”와 알레고리 - 발터 벤야민의 언어이론 “바로크”와 알레고리 - 발터 벤야민의 언어이론 최 문 규(연세대) I. 바로크와 현대 17-18세기의 예술 양식을 지칭하는 바로크(Barock) 개념은 본래 “과다한” “과장된” “기괴한” 같은 의미를 지닌다. 물론 바로크 예술 양식 자체가 어느 정도로 과다하고도 기괴한 모습을 띠고 있는지.. 철학자와 그의 사상/발터 벤야민 2016.08.30
[스크랩] 투사와 신사 안창호 평전(김삼웅) "안창호의 진면목은 고결한 신사이자 무장독립 투사" [서평] 김삼웅의 <투사와 신사 안창호 평전> / 김형욱 2013.05.30 심리학에서 프레임을 두고 '세상을 바라보는 마음의 창'이라 일컫는다. 사람마다 제각기 관점, 사고방식, 고정관념 등으로 다르게 해석함을 말한다. 동일한 개체를 보.. 철학자와 그의 사상/도산 안창호 2016.08.23
[스크랩] 도산 안창호 (1947년 판 서언) 도산 안창호선생은 우리 民族의 先覺이요 獨立運動의 偉大한 指導者였으니 萬一 오늘까지 生存해 계시었더면 그 나이 今年에 일흔 살이다. 解放이래 建國의 큰 事業이 遲遲不進하는 이 時機에 있어서 그가 살아 계셨더라면 어지러운 局面을 收拾하고 헤매는 民衆을 바로 引導하는데 횃.. 철학자와 그의 사상/도산 안창호 2016.08.23
[스크랩] 도산 안창호와 `일류국가로 가는 길` 도산 안창호는 환경을 개선 창조하는 원동력으로서 인간의 가치를 중시 했다. 오늘날 한국사회는 도산 안창호가 꿈꾼 민족전도대업, 일류국가의 실현을 눈앞에 두고 있다. 이미 해외에서는 한국을 높이 평가하는 여러 지표들이 제시되고 있다. 광복이후 단시간에 산업화와 민주화를 진.. 철학자와 그의 사상/도산 안창호 2016.08.23
[스크랩] 지도자(指導者) 우리가 공통의 목적을 갖고 서로 믿고 협력하여 실천해 나가려면 무엇보다도 지도자가 필요합니다. 개인적인 이익 달성을 위해서라면 지도자가 그다지 절실하지 않겠지만 단체생활에 있어서는 규모의 여하를 막론하고 그 조직을 이끌어 나가는 지도자가 있어야만 효과를 거둘 수 있습.. 철학자와 그의 사상/도산 안창호 2016.08.23
[스크랩] 오늘의 대한 학생 ● 오늘의 대한 학생이란 과거나 미래가 아닌, 바로 이 시대를 살아가고 있는 젊은 학생들을 말합니다. 학생들은 누구나 할 것 없이 모두 사회로 진출하여 살아 갈 준비를 하는 사람입니다. 생존과 번영은 사람의 활동에 따라 좌우되는 것으로 활동을 하면 사는 것이고 활동이 없다면 죽.. 철학자와 그의 사상/도산 안창호 2016.08.23
[스크랩] 인격완성, 단결훈련 대한의 청년들에게 당부하고 싶은 말은 많으나 그 중 몇 가지만을 말하고자 합니다. 지금 우리 민족은 일제 치하의 참담하고 비통한 고해(苦海)에서 해매며 캄캄한 먹구름속에서 방황, 주저하고 있습니다. 이렇게 참담한 상황에서 대한의 청년들은 어떠한 자세로 임하고 있습니까? 우리 .. 철학자와 그의 사상/도산 안창호 2016.08.23
[스크랩] 합동과 분리 우리는 동족끼리 서로 힘을 합하지 못하고 편을 갈라 싸움만 한다고 서로 헐뜯고 원망하는 말들만 앞세웁니다. 그러나 그렇게 헐뜯고 원망하는 말과 행위 자체가 바로 편당을 짓는 것이나 다름없습니다. 신문이나 잡지 등 매체에서는 합동하면 살고 분리하면 죽는다고 쓰고 있습니다. 이.. 철학자와 그의 사상/도산 안창호 2016.08.23
[스크랩] 우리나라의 미래에 대하여 비관적입니까, 낙관적입니까. 여러분은 우리나라의 앞날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고 있습니까. 비관적으로 생각하고 있습니까, 낙관적으로 생각하고 있습니까. 만일 비관적이라면 무엇 때문이며 낙관적이라면 또 무엇 때문입니까. 나는 성공과 실패의 여부는 먼저 그 목적이 무엇인가에 달려 있다고 생각합니다. 우리가.. 철학자와 그의 사상/도산 안창호 2016.08.23
[스크랩] 우리 민족 사회에 대하여 불평시 하는가, 측은시 하는가 여러분에게 물어 보고 싶습니다. 여러분은 오늘 우리나라에서 일어나고 있는 일들에 대해 불평 시 합니까 측은 시 합니까? 또는 부정적이며 절망적으로 생각하고 있습니까? 긍정적이며 희망적으로 생각하고 있습니까? 나, 안창호는 우리 국민들이 우리나라에 대하여 부정적 시각으로 바.. 철학자와 그의 사상/도산 안창호 2016.08.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