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크랩] "파시즘과 비인간주의 사이에서 외면당하는 들뢰즈와 가타리" 파시즘과 비인간주의 사이에서 외면당하는 들뢰즈와 가타리 ─지난 호 이종영의 들뢰즈 비판에 반론을 제기하며 _ 김재인 1 글을 쓰게 된 계기부터 밝히겠다. 『문학과사회』 2002년 여름호에 실린 이종영의「파시스트 들뢰즈와 가타리가 반(反)파시즘을 말하다」는 너무 심하다는 생각이 들었다. 편집.. 철학자와 그의 사상/질 들뢰즈 2008.11.14
[스크랩] 긍정과 창조의 철학자, 들뢰즈 긍정과 창조의 철학자, 들뢰즈[김재인] "들뢰즈 사상의 핵심들을 통해 프랑스 철학의 성격을 조명해 보고 그의 사상의 역사적 의미를 살펴본다. 아울러 그의 철학이 세계 철학에 미친 영향을 검증해 본다." 내가 받은 청탁 내용이다. 이 요구 사항을 꼭 지켜야 할 필요는 없다는 편집자의 단서가 있긴 .. 철학자와 그의 사상/질 들뢰즈 2008.08.01
[스크랩] 차이와 공명 : 들뢰즈에게서 존재론과 정치철학의 관계 차이와 공명 : 들뢰즈에게서 존재론과 정치철학의 관계 박서현 분명 여기서 차이의 철학은 아름다운 영혼의 담론으로 빠져 들 위험성을 걱정해야 한다. 그 담론에 따르면, 어떤 차이들이 있고 또 오직 차이들밖에 없지만 사회적 장소와 기능들의 이념 안에서 평화롭게 공존하고 있다. … 하지만 이런 .. 철학자와 그의 사상/질 들뢰즈 2008.08.01
[스크랩] 들뢰즈의 의미론 들뢰즈의 의미론 조정환 󰡔의미의 논리󰡕에서 영원회귀의 시간은 순수생성으로 나타난다. 차이가 있다면 그것을 언어와 관련짓는 것이다. 두 개의 언어가 있다. 형상의 작용을 받아들이는 정지와 고정의 언어, 그리고 운동과 생성을 표현하는 언어.1) 명사와 형용사가 무너져 순수생성.. 철학자와 그의 사상/질 들뢰즈 2008.08.01
[스크랩] [쟁론: 들뢰즈의 정치이론] 들뢰즈의 소수정치와 네그리의 삶정치 [쟁론: 들뢰즈의 정치이론] 들뢰즈의 소수정치와 네그리의 삶정치 조정환 들뢰즈의 소수정치와 네그리의 삶정치 조정환 -------------------------------------------------------------------------------- 어떤 탈근대적 저자들은 출현하고 있는 모델의 주변부에서 구멍이 난 곳을 찾는다. 그러나 그 주변부는 초월의 문턱 .. 철학자와 그의 사상/질 들뢰즈 2008.08.01
[스크랩] 들뢰즈의 타자 이론 들뢰즈의 타자 이론 김 지 영<부산대> Ⅰ. 서구의 형이상학에서 타자의 문제는 데카르트(R. Descartes)에 의해 확립된 의식 철학의 한계를 폭로하는 동시에 모든 것을 주관화하여버린 의식 철학의 대안을 강구하는 계기를 제공하였다. 코기토(Cogito)가 중심이 된 의식 철학은 어떻게 알 수 있는가라는 .. 철학자와 그의 사상/질 들뢰즈 2008.08.01
[스크랩] 들뢰즈와 리좀의 사유 들뢰즈와 리좀의 사유 이정우( 철학아카데미 원장) 들뢰즈는 푸코, 데리다와 더불어 현대 철학을 대표하는 인물이다. 들뢰즈는 철학사에 대한 방대하고도 독창적인 독해 과정을 통해서 자신의 사유 틀을 만들어나갔다. 들뢰즈는 기존의 철학사 이해와는 상반되는 독해를 내놓음으로써 철학의 새로운 .. 철학자와 그의 사상/질 들뢰즈 2008.08.01
[스크랩] 들뢰즈의 칸트 읽기 들뢰즈의 칸트 읽기 김인호 칸트의 이성은 입법자이다. 이성은 추리하고, 지성은 판단한다. 그래서 미학에서는 상상력이 입법하는 것이 아니라, 지성이 입법한다. 그런데 그것은 대상에 대해 입법하는 것이 아니라 자기자신에 대해서 입법한다. 우리는 입법자이기는 하나 유한자로서 이성에 대한 입법.. 철학자와 그의 사상/질 들뢰즈 2008.08.01
[스크랩] <들뢰즈-존재의 함성>을 통한 들뢰즈 담론: 이정우vs이진경 대담 <들뢰즈-존재의 함성>을 통한 들뢰즈 담론: 이정우vs이진경 "신간[<들뢰즈-존재의 함성>(박정태 역, 이학사, 2001)]은 1990년대 들어 우리 지식사회에서 각광을 받은 프랑스의 탈근대주의 철학자 질 들뢰즈(1925-1995) 의 사상을 비판한 책이다. 다소 생소한 이름인 저자 바디우는 현재 프랑스에.. 철학자와 그의 사상/질 들뢰즈 2008.08.01
[스크랩] 혼동되는 유목주의, 실체는 무엇인가? * 서울대학교 대학신문(2007. 4. 11) / 혼동되는 유목주의, 실체는 무엇인가? 이민석 기자 ground28@snu.ac.kr ▲ 이정우…"들뢰즈-가타리의 개념에 처음부터 가치론적 함의 넣었기 때문에 오해 초래했다" ▲ 김상환…"『안티-오이디푸스』에서부터 자본주의에 대한 들뢰즈-가타리의 관점 애매해" ▲ 이성민…".. 철학자와 그의 사상/질 들뢰즈 2008.08.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