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크랩] 쥴리아 크리스테바 쥴리아 크리스테바 쥴리아 크리스테바는 우리나라에서는 기호학자로 널리 알려져 있는 인물이지만 동시에 그녀는 뛰어난 문학 비평가이고 문화 분석자이기도 하다. 그녀는 1941년 불가리아의 소피아에서 태어났다. 유년기 때 프랑스 수녀들로부터 교육을 받았으며, 소피아 문학대학을 졸업하고 동대.. 철학의 세계/철학의 바다 2009.02.02
[스크랩] 현대철학공부를 끝내며(현대철학자 정리) 현대철학 공부를 몇달 했다. 10권 정도의 책을 보고 통달한 듯 현대 철학을 끝낸다는 것은 오만이지만 대충 �어보고 대충 알만하다. 어떤 책은 두 번 보고 노트도 하고 자료검색도 하여 철학자별로 정리하였다. 철학자들은 대다수가 기인들이다. 밥이 안되는 철학에 빠진 자체가 기이한 일이다. 그런.. 철학의 세계/철학의 바다 2008.12.05
[스크랩] 철학이란 무엇인가? 철학이란 무엇인가? - 김 진(울산대 철학과 교수) 철학은 내일의 양심과 미래를 위한 당파성이나 또는 희망에 관한 지식을 가지게 되든가, 그렇지 않으면 더 이상 어떤 지식도 가지게 되지 않을 것이다. - 에른스트 블로흐 1. 철학이란 무엇인가 누구든지 철학을 처음 접하게 되면, 철학이란 무엇인가라.. 철학의 세계/철학의 바다 2008.08.01
[스크랩] 생명이란 무엇인가? 생명이란 무엇인가? -과학과 생명의 형이상학 -< 과학철학이란 무엇인가 > 박이문(포항공대 철학) 생물과 물질은 어린애들도 쉽게 가려낸다. 그러나 막상 생물의 본질이 그 밖의 존재들의 본질과 어떻게 다르냐를 결정하기란 생물학자나 철학자에게도 그리 쉽지 않다. 본질적 물음은 형이상학적 물.. 철학의 세계/철학의 바다 2008.08.01
[스크랩] `욕망`이란 문제설정 [특집] '욕망'이란 문제설정? 정세 '욕망'이란 문제설정? 강내희 중앙대 교수, 영문학 1. 서론 욕망문제가 진보이론의 쟁점으로 떠오른 것이 아닐까? 욕망문제는 이제 철학이나 인류학, 미학 등 지금까지 그것들의 '고유한' 영역이라고 간주되던 데서 벗어나 감성보다는 이성을 중시해온 사회이론과 같.. 철학의 세계/철학의 바다 2008.08.01
[스크랩] 박홍규 교수 유고집 5권 완간과 박홍규 사유의 위대함 http://blog.aladdin.co.kr/booktopia/1411099 * 이미 박홍규 교수의 전집이 출간되어 나왔다는 소식은 들어 알고 있었으나 여기에 특별히 관련 기사가 한겨레에 있어 옮겨 놓는다. 그동안 사상에 있어서 우리는 '특수적인 것'만을 강조하다 보니 보편적인 것의 우리의 것으로의 전환을 고민하지 못했다. 이를 가능.. 철학의 세계/철학의 바다 2008.08.01
[스크랩] 타인의 얼굴-레비나스의 철학 타인의 얼굴-레비나스의 철학 타자는 나에게 법이며 명령이다 나는 곧 너다. 웬 뚱딴지 같은 소리냐구? 어느 밤, 유대인 철학자 에마뉘엘 레비나스를 읽다가 노트 한쪽 여백에 끄적인 글귀다. 나의 레비나스 이해는 강영안과 서동욱의 이해에서 더 멀리 나아가지 않는다. 그들을 통해 레비나스를 받아.. 철학의 세계/철학의 바다 2008.08.01
[스크랩] ① 철학은 문제를 해결하는 게 아니라 다시 정의하는 것 -슬라보예 지젝 철학은 문제를 해결하는 게 아니라 다시 정의하는 것 [연재] 21세기의 사유들 ① 슬라보예 지젝 - 이현우 강사 (인문대ㆍ노어노문학과) 2007년 09월 01일 (토) 22:08:07 대학신문 snupress@snu.ac.kr [연재] 21세기의 사유들 사상과 현실이 유리되고 있는 시대에 그 관계를 다시 활발히 밀착시키고자 하는 사상가들.. 철학의 세계/철학의 바다 2008.08.01
[스크랩] ② 섹스ㆍ젠더ㆍ섹슈얼리티, 제도담론의 권력 효과일 뿐 -주디스 버틀러 섹스ㆍ젠더ㆍ섹슈얼리티, 제도담론의 권력 효과일 뿐 [연재] 21세기의 사유들 ② 주디스 버틀러 - 조현준 연구원 (한국여성문화이론연구소) 2007년 09월 08일 (토) 18:22:42 대학신문 snupress@snu.ac.kr 현재 미국 캘리포니아 버클리대에서 수사학과 및 비교문학과 교수로 재직 중인 레즈비언 철학자 주디스 버틀.. 철학의 세계/철학의 바다 2008.08.01
[스크랩] 파시즘의 대중심리 -------- 빌헬름 라이히 파시즘의 대중심리 -------- 빌헬름 라이히 1.물질적 힘으로서의 이데올로기 <균열> 히틀러 이전 시기 독일의 자유 운동은 막스의 국가이론과 사회이론에 의해 주도 되었다. 따라서, 독일 파시즘에 대해 이해하기 위해서는 막스주의를 먼저 이해해야 한다 독일에서 민족사회주의가 권력을 장악한지 .. 철학의 세계/철학의 바다 2008.07.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