철학자와 그의 사상/비트겐슈타인 11

[스크랩]Ms. Anscombe의 비트겐슈타인 이야기

Ms. Anscombe의 비트겐슈타인 이야기 비트겐슈타인 이야기(2008. 9. 15. ~ 2008. 9. 29.) 1. 하마는 존재하는가? 2. 완성형 프로토스는 김씨이다(?) 3. 논리는 함수다 4. 러시아의 수도는 러시아의 수도이다? 5. 언어는 생각을 담는 그릇이다 6. 철학자들이여 헛소리를 멈출지어다 7. 말할 수 없는 것에 대해 우리는 침..

[스크랩]비트겐슈타인, 빈, 세기말에 대한 회화(Part II)

비트겐슈타인, 빈, 세기말에 대한 회화(Part II) 글쓴이: Ms. Anscombe 출처 : http://www.pgr21.com/zboard4/zboard.php?id=freedom&page=1&sn1=&divpage=2&sn=off&ss=on&sc=on&select_arrange=headnum&desc=asc&no=10344 IV. 전쟁 1. 논리학의 문제들 다시 영국의 비트겐슈타인에게로 돌아갑시다. 『수학의 원리』의 중심 주제는, 순수 수학 전체가 몇 ..

[스크랩]비트겐슈타인, 빈, 세기말에 대한 회화(Part I)

비트겐슈타인, 빈, 세기말에 대한 회화(Part I) 글쓴이 : Ms. Anscombe 출처: http://www.pgr21.com/zboard4/zboard.php?id=freedom&page=1&sn1=&divpage=2&sn=off&ss=on&sc=on&select_arrange=headnum&desc=asc&no=10343 들어가기 전에 1주전에 약속한대로 비트겐슈타인에 대한 이야기를 해 볼까 합니다. 대강이라고 했는데, 상당한 스크롤 압박이 있..

[스크랩] "비트겐슈타인의『논고』에서의 `대상` 개념"

"비트겐슈타인의『논고』에서의 '대상' 개념" ※ 비트겐슈타인의『논고』를 읽으면서 제일 이해하기 어려웠던 부분 중의 하나는 (『논고』에 나타난) '대상' 개념이었다. 본고에서는 아래의 논문들을 통해, 비트겐슈타인의 '대상' 개념에 대한 하나의 해석을 이끌어 내려고 한다. 「비트겐슈타인의 이..

[스크랩] 언어의 마술 :모순어법과 `현자의 돌` -대립으로 빚어낸 역설의 미학

모순어법(oxymoron)과 ‘현자(賢者)의 돌’ ‘침묵의 소리’‘달콤한 슬픔’‘색즉시공’…대립으로 빚어낸 역설의 미학 이윤재 번역가, 칼럼니스트 yeeeyooon@hanmail.net 모순어법은 활발한 두뇌활동의 결과물이다. 서로 양립할 수 없는 단어를 결합시켜 우리를 더 높은 진리의 세계로 안내한다. 동서고금..

[스크랩] 논쟁으로 본 현대철학 (괴델과 비트겐슈타인)

논쟁으로 본 현대철학(괴델과 비트겐슈타인) 인위적 수리철학의 신봉 거부하는 '철학적' 메시지 괴델과 비트겐슈타인은 의심의 여지없이 20세기를 대표하는 사상가들이다. 그러나 두 거장 사이의 관계에 대해서 학자들은 비트겐슈타인이 괴델의 불완전성 정리의 내용과 의의를 이 해 못한 것으로 평..

[스크랩] [철학] 비트겐슈타인과 논리실증주의

비트겐슈타인과 논리실증주의 20세기 초 철학계는 아인슈타인의 상대성이론에 의해 뉴턴적 세계관이 붕괴하면서, 그리고 프레게와 러셀 등에 의해 발전된 새로운 기호논리학과 힐버트 등에 의해 진행된 수학기초론 논의에서 큰 영향을 받았다. 칸트에 의하면 선험적 종합의 대표적 지식이었던 뉴턴 ..

[스크랩] 쿤과 비트겐슈타인 - 언어게임 관련

쿤과 비트겐슈타인 -패러다임과 언어 게임을 중심으로- 1. 머리말 인간이란 무엇인가? 세계란 무엇인가? 철학적 사유의 출발점이라고 할 수 있는 이러한 물음들은 무엇에 대한 단일한 특성, 즉 본질이 있다는 믿음 아래 있다. 본질은 어떤 사물 그 자체의 특성이며, 부수적이고 가시적인 것들을 뛰어넘..

[스크랩] 94 분석철학의 탄생: G.E.무어와 L. 비트겐슈타인(1873-1958년)

94 분석철학의 탄생: G.E.무어와 L. 비트겐슈타인(1873-1958년) 그때 세계에서는 1939년: 제2차 세계대전 발발 1943년: 모스크바에서 미, 영, 소 3국 외상회의 열림 비트겐슈타인 지금은 인문 계통의 철학이 영국에서는 옥스퍼드 대학을 중심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그러나 언어분석을 이끌어온 초창기의 철학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