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크랩] 쥴리아 크리스테바 쥴리아 크리스테바 쥴리아 크리스테바는 우리나라에서는 기호학자로 널리 알려져 있는 인물이지만 동시에 그녀는 뛰어난 문학 비평가이고 문화 분석자이기도 하다. 그녀는 1941년 불가리아의 소피아에서 태어났다. 유년기 때 프랑스 수녀들로부터 교육을 받았으며, 소피아 문학대학을 졸업하고 동대.. 철학의 세계/철학의 바다 2009.02.02
[스크랩] 현대철학공부를 끝내며(현대철학자 정리) 현대철학 공부를 몇달 했다. 10권 정도의 책을 보고 통달한 듯 현대 철학을 끝낸다는 것은 오만이지만 대충 �어보고 대충 알만하다. 어떤 책은 두 번 보고 노트도 하고 자료검색도 하여 철학자별로 정리하였다. 철학자들은 대다수가 기인들이다. 밥이 안되는 철학에 빠진 자체가 기이한 일이다. 그런.. 철학의 세계/철학의 바다 2008.12.05
[스크랩] 〈추의 역사〉움베르토 에코 지음 '추한 것'에서 미학은 완성된다 -〈추의 역사〉움베르토 에코 지음·오숙은 옮김/열린책들·5만5000원 무엇이 '추'(醜)인가. 아름다움의 결핍인가, 악의 표상인가. 아니면 혐오와 역겨움을 불러일으키는 속성들의 총체인가. 움베르토 에코의 <추의 역사>가 출간 1년 만에 우리말로 번역됐다. 비례와 .. 철학의 세계/미학 2008.12.05
[펌][서양화 읽기] 이것은 파이프가 아니다 [펌][서양화 읽기] 이것은 파이프가 아니다 글쓴이 : 불같은 강속구 출처 : http://www.pgr21.com/zboard4/zboard.php?id=ACE&no=842 안녕하십니까. 송석희 입니다. 요즘 초현실주의 화가인 르네 마그리트씨의 파이프 그림에 대해 말이 좀 많습니다. 오늘 이 자리에 6분의 석학을 모시고 문제의 그림을 보면서 같이 말씀 .. 철학의 세계/미학 2008.11.24
[스크랩] 진중권 <모더니즘의 미학> 강의노트 진중권 <모더니즘의 미학> 강의노트 ■ 제1강 예술, 철학, 모던Ⅰ 예술에 대한 철학적 성찰은 플라톤에게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철학과 예술 사이에 적대적인 관계를 설정하는 것으로 시작하였다. 아리스토텔레스에 이르러 비로소 예술은 철학적으로 구제를 받는다. 말하자면 시는 개별적인 것.. 철학의 세계/미학 2008.11.18
[스크랩]침묵의 나선이론 침묵의 나선이론 (The Theory of spiral of silence) 신문과 방송<2002.01 : 373호 : 53-59> 미디어가 여론 형성에 미치는 영향 침묵은 금이라고 가르침을 받는 사회, 침묵하는 것이 오히려 중간은 가는 사회, 유교 전통에 영향받아 떠드는 것보다는 조용하게 있는 것이 점잖다고 인정받는 사회. 2002년도 새해 벽두.. 철학의 세계/미디어의 철학 2008.09.03
[스크랩] [생생! 방송현장③] 국내 최초 시청자 제작 채널 RTV 뉴스: [생생! 방송현장③] 국내 최초 시청자 제작 채널 RTV 출처: 파이미디어 2008.08.21 02:12 철학의 세계/미디어의 철학 2008.08.21
[스크랩] (9) 독일 퍼블릭 액세스 운동 - TV 상업화 맞서 시민들이 직접 제작 9. 독일 퍼블릭 액세스 운동 TV 상업화 맞서 시민들이 직접 제작 지난 20세기의 가장 놀라운 발명품 중 하나는 텔레비전이다. 이 경이로운 매체는 사회제도는 물론 일상생활에도 심대한 영향을 미쳐왔다. TV는 크게 보아 공론(公論) 형성과 오락 제공이라는 두 가지 기능을 갖고 있다. 그러나 어느 때부터.. 철학의 세계/미디어의 철학 2008.08.21
[스크랩] (22) 대량생산 대중소비, 포드주의 : 마이카 시대 연 ‘일당 5달러’ - 송성수 “자동차 누구나 싸게 살 수 있게 하겠다” 컨베이어 공정으로 대량생산 길트고 파격 임금으로 대량소비 지원한 포드 노동 비인간화·한가지 차종 고집으로 쇠퇴 » 1930년대 포드 공장 전경. 노동조합의 성장과 노동운동의 강화를 배경으로 ‘포드주의’는 노동을 비인간화하는 상징으로 부각되.. 철학의 세계/과학철학 2008.08.20
[스크랩] (21) 테일러주의와 엔지니어의 꿈 : 성과급제 원조…그는 노동자의 적인가 - 송성수 철강회사 노동자로 출발 수석엔지니어로 승진 ‘은밀한 태업’ 해법 연구 경영컨설턴트로 나서 ‘테일러주의’ 핵심은 노동자별 ‘과업’ 할당…노동력 착취 수단·인간 노예화 비판 받기도 » 테일러가 스톱워치를 통해 시간연구를 하는 모습을 그린 스케치. 연구 대상인 노동자가 볼 수 없도록.. 철학의 세계/과학철학 2008.08.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