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미지의 삶과 죽음/이미지의 사유, 사유의 이미지 22

[스크랩]사진은 무엇을 재현하는가? -10-

열번째 테마 사진적 재현과 형상이탈 앞서 언급된 아홉 가지 테마 내용들은 사진적 재현에 관하여 대체로 객체에서 주체로, 코드에서 탈코드로, 혹은 논리 중심에서 감각 중심으로의 사변적 이동에 관계하고 있다. 그러나 가장 공통된 맥락은 한 마디로 모더니즘의 가장 큰 특징을 이루는 의미적 규명..

[스크랩]사진은 무엇을 재현하는가? -9-

아홉 번째 테마 사진과 관객 그리고 푼크툼의 확장 우리 세상은 수많은 신호(sign)들로 가득 차있다. 또한 우리의 삶 역시 끝없는 신호의 연속에 있다. 여기서 삶이라는 것은 단지 물질적 현상만이 아닌 인간의 모든 정신적 활동까지 포함하고 있다. 흔히 신호라고 하면 비를 알리는 먹구름의 출현이나 ..

[스크랩]사진은 무엇을 재현하는가? -8-

여덟 번째 테마 사진적 행위와 감각의 논리 사진 예술은 주체와 무의미를 지향하지만 결코 의미나 객관을 부정하지 않는다. 오히려 양식과 공통된 감각은 새로운 창조를 위한 배경을 만든다. 왜냐하면 진보는 배경 없이 존재하지 않고 배경은 진보를 위한 모태이기 때문이다. 그림을 그린다든지 사진..

[스크랩]사진은 무엇을 재현하는가? -7-

일곱 번째 테마 공유된 주관성과 감각의 뇌관 소위 예술적 표현이라는 것은 이미 알려진 사실에 대한 객관적 진술이 아니라 자신의 경험과 체험을 통한 자신의 순수한 주관적 메시지이다. 그 럼에도 불구하고 작가가 표현하고자 하는 메시지가 보편적 앎의 테두리 안에서 출발된 객관 타당한 코드에 ..

[스크랩]사진은 무엇을 재현하는가? -6-

여섯 번째 테마 사진은 비어 있는 의미 공간이다. 사실상 아무리 위대한 사진이라 할지라도 응시자의 체험적인 의식이 투영되지 않은 이미지에서는 그 어떠한 자극에도 우리는 쉽게 감동하지 않는다. 그래서 감동을 주는 좋은 사진은 의미적으로 텅 빈 사진이다. 인간의 기억만큼 복잡한 구조를 가진 ..

[스크랩]사진은 무엇을 재현하는가? -5-

다섯 번째 테마 스투디움과 푼크툼 거의 대부분의 사진에서 재현된 대상은 그것이 함축하거나 상징하는 의미 즉 문화적인 코드를 가질 수 있다. 가령 시골 초가집과 토담이 보이는 배경에 엉뚱하게도 현대식 양식으로 지은 주유소의 원색적인 건물을 병치시킨 사진이라든지 혹은 황량한 아스팔트 틈 ..

[스크랩]사진은 무엇을 재현하는가? -4-

네 번째 테마 사진과 아우라 현상 사진 용어에는 “아우라(aura)”라는 말이 있다. 원래 이 용어는 사진에 나타나는 특별한 현상을 설명하기 위한 존재론(음의 세계)적 용어이다. 이때 용어의 개념은 앎과 이성을 초월하는 그러나 반박할 수 없는 형이상학적인 것이다. 이를 좀 더 구체적으로 말하면 거..

[스크랩]사진은 무엇을 재현하는가? -3-

세 번째 테마 사진과 글의 따로 국밥 사람이 살다보면 뭔가 남기고 싶고 뭔가를 표현하고 싶은 때가 있다. 예를 들어 여행을 갔을 때 기념으로 사진을 찍는 경우라든지, 어떤 상황이 인상적일 때 혹은 괴로울 때 흔히 일기 형식으로 글을 쓰는 경우가 가장 대표적인 방법이다. 이러한 방식은 그때의 심..

[스크랩]사진은 무엇은 재현하는가? -2-

두 번째 테마 장님과 코끼리 그리고 지팡이 우리들의 세상 혹은 현상계로 간주되는 플라톤의 동굴은 하나의 우주이고 동시에 실제로 존재하는 일상생활의 공간이기도 하다. 이러한 공간을 하나의 풍선이라고 할 때 동굴 속에 존재하는 수많은 대상들은 두 개의 서로 다른 원소로 되어있는 풍선 속의 ..

[스크랩]사진은 무엇을 재현하는가? -1-

첫번째 테마 세상은 하나가 아니다. 빛과 어둠으로 비유되는 플라톤의 동굴 우화는 우리가 살고 있는 현실의 개념적 공간으로 간주된다. 빛이 없으면 어둠도 없고 또한 어둠 없는 빛은 존재하지 않는다. 그처럼 우리들의 현실은 하나가 아니라 둘이다. 사진이라는 것은 비록 그것이 철학적 은유라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