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미지의 삶과 죽음/회화의 세계

[스크랩] 자연을 숭배했던 화가 클로드 모네

ddolappa 2008. 3. 6. 03:36

박희숙의 명화 다시보기

자연을 숭배했던 화가 클로드 모네


자연을 숭배했던 클로드 모네의 대표작 <인상. 해돋이>는 인상파를 열어준 가장 결정적인 계기가 된 작품이어서 미술사에서 중요하다.


3_07100273499.jpg
<인상, 해돋이>-1873년, 캔버스에 유채, 48*63,
파리 마르모탕 미술관 소장

<인상, 해돋이> 이 작품에서 모네는 르아브르의 항구의 아침 인상을 유연한 붓놀림과 투명한 색을 사용해 아침 햇살에 빛나는 항구의 아름다움을 표현했다. 회색빛 색조 위로 반사되는 햇빛은 간결하고 대담한 오렌지 빛 붓놀림으로 표현했다.

화면에서 배와 돛대와 연통은 짙은 안개 때문에 흐릿하지만 부드러운 붓놀림으로 인해 화면이 정지되어 있지 않고 생명력을 가지고 있는 것이 이 작품의 특징이라고 할 수 있다.

<인상, 해돋이> 아름다운 작품이 그 당시에는 엄청난 비난을 받았다. 지금은 미술사조 중에 가장 인기 있는 인상파 화가들이지만 그 당시 화단에서 인상파는 조롱거리였다. 사실적인 초상화가 주류를 이루고 있었던 시대에 빛에 따라 변하는 인물이나 풍경의 그림들이 비평가나 대중들은 익숙지 않았고 인상파 화가들은 새로운 시대를 만들기 위해 고군분투 했었다. 인상파 화가들은 기존의 미술계에서 받아주지 않았던 자신들의 그림을 전시하기 이른다. 그러나 그들 전시는 호응을 얻지 못했다.

그 전시회에 클로드 모네는 <인상, 해돋이>이라는 작품을 출품하게 되었고 그의 작품을 본 비평가 루이 르루아가 ‘르 샤리바리’지에 기고한 기사의 제목을 <인상, 해돋이>에서 따온 ‘인상주의 전시’라고 붙이고 비난을 퍼부었다. 곧 이 기사는 처음 인상주의를 조롱하기 위해 쓰였진 말이 그들을 대표하는 말로 되었다.

풍경이나 인물들의 순간적인 모습을 포착해서 그린 인상파 화가들의 새로운 화풍은 19세기 당시에 볼 수 없었던 혁신적인 그림들이었다.

모네는 빛에 변화에 따른 자연을 묘사한 인상파의 대표적인 화가라고 할 수 있는데 그는 하늘과 눈과 물에 비친 구름을 최초로 그린 화가로서 자연을 자신의 예술세계의 가장 중요하게 생각했다. 모네는 점점 인상파적 특징을 가지고 자연을 표현하기 시작하면서 작품의 경향이 서정적으로 바뀌기 시작한다.

<생타드레스의 테라스>는 일상적으로 보아왔던 자연과 그것을 감상하는 사람들과의 혼연일체가 되어 아름다운 정경을 자아내고 있는 작품이다.


3_07100258008.jpg
<생타드레스의 테라스>-1867년, 캔버스에 유채, 96*129, 뉴욕메트로폴리탄미술관 소장

프랑스 르 아브르 근처에 있는 생타드레스의 해변 풍경을 그린 작품으로서 화면 맨 앞에 앉아 밀짚모자를 쓰고 있는 사람은 모네의 아버지이다. 가족들과 함께 해변으로 놀러가서 모네가 그린 풍경화로서 이 작품은 두 부분으로 나누어져 있는 것이 특징이다.

위쪽 부분은 바닷가 풍경으로 수평선과 깃대가 직각으로 교차되어 있다. 그리고 테라스 쪽은 약간 경사진 구도로 되어 있어 바다를 바라보는 풍경을 연출했다.

이와 같은 서로 다른 구도를 가지고 있는 작품은 당시로서는 매우 드문 경우라고 할 수 있는데 이는 모네가 쿠르베의 영향에서 벗어나 인상파 기법에 더욱 더 가까워졌다는 것이다.

모네는 불투명한 색채로 명암을 뚜렷하게 대비시키고 있으면서도 밝고 화사한 빛의 색채로 화단의 꽃들을 아름답게 표현했다. 인물과 테라스, 바다는 도시적이다.

클로드 모네<1840~1926>는 작업실에서 할 수 없는 자연의 에너지와 생동감을 주력해서 표현하기 시작하면서 자신만의 색을 내기 시작했다. 그는 평생 동안 빛의 끊임없는 변화에 따라 동일한 풍경이 달라지는 모습을 포착하고 끝없이 노력하고 탐구했다.

말년에 모네는 1890년에 몇 해 동안 사 모은 땅에 집을 짓고 자신의 낙원을 건설했다. 그곳이 지베르니의 정원이다.

모네는 지네르니에서 잡풀만 무성했던 정원을 그림처럼 구상했다. 계절마다 바뀌는 갖가지 꽃이 피는 정원을 만들었던 것이다. 그는 자연을 자신 속으로 빨아들였다. 지베르니 정원은 모네의 후기에 제작한 많은 그림의 모티브가 되었다.

 

2007-10-02

출처 : www.hangyo.com

출처 : 소르본느 서재
글쓴이 : 유럽 원글보기
메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