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상한 취향에 대한 변명/맛있는 요리

[스크랩] 전어구이 - 가을의 고소함이 가득

ddolappa 2008. 10. 1. 17:21

 

<전어구이>

 

-8월의 전어는 개도 안먹는다.

-전어 굽는 냄새에 집 나간 며느리도 돌아온다.

-가을 전어 대가리엔 참깨가 서 말.

-가을 전어는 며느리 친정간 사이 문고리 잠그고 먹는다.

-자살을 위해 강둑에 선 사람도 전어 굽는 냄새에 마음을 돌린다.

 

예부터 내려오는 가을 전어의 찬사는 가지가지입니다.

얼마나 가을 전어가 맛있길래 이런 익살스런 말들이 많이 나왔을까요?

불과 몇 년 전에는 푸른색의 만원짜리 지폐 한 장이면

깊어가는 가을날 막횟집에서 푸짐하게 먹었던 시절이 있었는데

지금은 너무 많은 인기를 구가하여서 전어가 풍년이라해도

넉넉찮은 지불을 해야만 맛있는 전어를 먹을 수 있게 되었습니다.

 

몇 년 전에는 전어의 크기가 15cm인 것을 최고의 상품으로 간주했는데...

요즘은 20cm의 전어를 최상품으로 내 놓는 것 같습니다.

하지만 대략 15-20cm 크기의 전어는 모두 최상급 전어라 합니다.

 

칼스버그도 마트에서 조금 작은 크기의 전어를 구입했습니다.

저도 최상급을 먹고 싶었는데...

그만한 크기의 전어는 구경도 못했습니다.

가정에서 전어를 조리하는 것은 대부분 소금구이이지요.

전어를 가장 맛있게 먹을 수 있는 방법이 바로 구이라고

많은 미식가들은 말을 합니다...그래서,

칼스버그.. 전어를 소금구이와 된장양념구이...두가지로 조리해 보았습니다.

 

전어는 등쪽의 푸른 색과 뱃쪽의 흰색이 뚜렷해야 싱싱한 전어입니다.

최상급의 전어라면 필히 꼬리부분의 지느러미를 확인하여

매끈한 지느러미라면 자연산...상처가 많이 보이면 양식을 생각하라 합니다.

 

먼저 비늘을 깨끗히 제거를 합니다.

 

비늘을 제거한 전어는 깨끗히 씻은 다음 칼집을 내어 줍니다.

먼저 소금구이로 시작합니다.

 

그릴위에 손질한 전어를 올린다음 소금을 뿌리고 굽습니다.

뒤집어서 다시 소금 뿌리고 구우면 맛있는 소금구이가 완성이 됩니다.

(숯불이나 연탄불에 석쇠를 이용하여 구어야 최고의 맛을 볼 수 있습니다.)

 

 사진을 정말 못 찍는다는 것을 다시 한번 느껴봅니다.

전어가 맛있게 구어지면 황금옷을 입은 것처럼 번쩍번쩍 빛이 나는데

그 황금빛을 앵글에 담지 못했습니다.

 

전어의 소금구이는

머리와 내장의 맛이 일품이라고 하지요.

잔 가시도 많아 발라먹기 힘들다고 하지만

가시를 발라내어 살점만 먹게 된다면 전어의 맛과 영양을

제대로 즐길 수 없습니다.

뼈째로 그냥 먹는 것이 전어구이이지요..

그래서 칼슘 섭취가 좋아 골다공증에 탁월한 효과가 있다고 합니다.

 

이젠...

된장양념구이로 넘어갑니다.

전어의 맛은 된장이 가미되어야 더욱 진가를 발휘하게 됩니다.

세꼬시나 무침에도 된장과 함께 하면 더욱 고소한 전어가 되듯이

구이도 된장과 함께하면 최고의 맛을 보여줍니다.

 

 

풋고추와 홍고추를 가늘게 채를 썰어서 준비를 합니다.

 

15cm 크기의 전어 두 마리 양념분은

된장 한 큰술, 소주 한큰술, 꿀 한티스푼, 다진마늘 한티스푼입니다.

고루 섞어준다음 썰어놓은 고추를 넣고 잘 버무려 양념을 만듭니다.

 

 전어의 예쁜 몸매에 앞뒤로 골고루 된장 양념을 발라주어 약 20-30분정도 재워 놓습니다.

 

 된장양념에 재워놓은 전어를 무수분 조리기인 닥터쉐프에 구었습니다.

일반 팬이나 석쇠에 구어도 되겠지요...

 

닥터쉐프의 놀라운 효과를 경험했습니다. 

일반 팬에서 양념을 한 생선을 굽게 되면 밑부분의 양념들이 팬에 달라붙어서 생선만

뒤집혀지는데...

닥터쉐프는 양념이 팬 바닥에 붙지않고 생선에 고스란히 붙어서 뒤집어집니다.

환상이네요...^^*

 

완성된 된장양념구이 전어입니다.

사진 찍는 것도 열심히 배워야겠습니다.

 

 

가을 전어...

된장양념과 함께하는 최고의 맛....

가을의 고소함이 가득차 있는 된장양념구이..

절대 놓치지 마세요...

11월이 되면 전어는 맛도 급격히 떨어지고...

우리 곁에도 없답니다...

 

 혹시 ...

전어(錢魚)는 알고 있을까요...

자기 이름에도 돈(錢)이 들어간 사실을............

 

                                                              
출처 : 한식의 멋과 맛
글쓴이 : 칼스버그 원글보기
메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