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포영화 용어정리
*호러무비 Horror Movie
관객에게 불안과 공포를 불러 일으키도록 의도된 내용의 영화
*좀비 Zombie
서인도 제도 원주민의 미신과 부두교의 제사장들이 마약을 투여해 되살려낸
시체에서 유래한 단어라 한다.
하지만 의식도 없고 이미 죽은 몸이기 때문에
아무리 죽여도 죽인게(?) 아니다.
1932년 벨라루고시의 <화이트좀비>가 좀비를 다룬 첫 작품이며
조지로메로의 <살아있는 시체들의 밤> 을 기점으로 해서
<좀비오><바탈리언>과 같은 수많은 아류작들이 탄생했다.
- 사전적인 의미 : 죽은 자를 되살아나게 하는 영력, 그 힘으로 되살아난 무의지의 인간
*뱀파이어 Vampire
피를 빨아먹는 흡혈귀.
17,8세기에 걸쳐 헝가리,
세르비아 트란실바니아 등의 동유럽에서 탄생한 흡혈귀는 악령에 영혼을 팔았거나
신의 저주를 받아 죽어서도 저승에 가지 못하는 귀신이다.
영화는 독일의 무르나우 감독의 <노스페라투>가 최초의 작품으로,
지금 보기에는 조금 민망할 정도다.
우리가 가장 많이 보아온 드라큐라는 크리스토퍼 리의<드라큐라>시리즈이다.
*스플래터무비 Splatter Movie
피가 튀어다니고 사지가 절단되지만 보면서 도저히 웃지 않고 배길수 없는 영화.
<바탈리언>에서는 시체들이 무덤에서 떼로 살아나오는데,
그중 한 좀비가 무덤에서 나오려는데 다른 좀비 머리를 밟고 지나간다거나,
<데드얼라이브>에서는 남녀 좀비가 서로 사랑을 하는,
그러면서 눈알이 튀어나오는 그런 내용이다.
*슬래셔무비 Slasher Movie
사이코 살인마가 얼굴에 무언가(하키마스크, 유령가면, 털가죽..)를
뒤집어 쓸고 무자비하게, 별다른 이유도 없이 사람들을 살인하는 영화.
Slash- '베다, 자르다'에서 유래한 말로
<할로윈><13일의 금요일>과 최근의 <스크림>이 대표작들이다.
이들 영화들은 마약이나 술, 섹스를 하는 젊은이들에 대한 사회의 경고와 같은
메세지를 담고 있으며,
나중에는 섹스씬이 공포영화에서는 빠질 수 없는 요소가 되었다.
*스너프무비 Snuff Movie
포르노를 찍는 도중에 실제로 출연자를 살해하는 장면을 있는 그대로 보여주는 영화.
실제로 사람을 죽여야 하는 장면을 담고 있기
때문에 포르노보다 더 암시장에서 거래가 이루어진다.
<무언의 목격자><떼시스> 등이 스너프를 소재로 한 영화로,
우리나라에서도 그 모방범죄가 예전에 나온적이 있어
사회에 큰 반향을 일으킨 적이 있다.
*오컬티즘무비 Occultism Movie
신비주의 혹은 초자연주의라는 의미의 이 단어는
악마와 그를 숭배하는 사교집단을 내세운 새로운 경향의 호러영화를 일컫는 말이다.
로만폴란스키의 <악마의 씨>나 <엑소시스트><오멘>,
웨스크레이븐의 <악령의 관>이 대표적인 영화로,
그중에서 부두교가 가장 많이 다루어진다.
*네크로필리아 Necrophillia
시체애호증 환자 혹은 시간꾼이라고도 한다.
쉽게 풀어서 얘기하면 밤중에 무덤을 파서 시체와 섹스를 하는 성도착증환자를 일컫는 말이다.
독일의 <네크로맨틱>이 대표적인 영화로 그 변태적인 정도가 너무
심하여 독일과 미국에서도 상영이 금지된 영화이다.
스웨덴의 <나이트가드>도 비슷한 내용을 담고 있다.
*흑마술 Black Magic
병을 치료하는 등의 선한 목적에 사용되는 백마술의 반대말.
저주나 위해의 목적으로 사용된다.
저주하는 사람의 허수아비 인형이나 사진에 바늘을 꽂으면서 주문을 외우면 된다.
이런 점은 우리와 매우 비슷하다.
*프릭스 Freaks
마약중독자를 의미하는 속어로서 영화에서는 변종이나 기형적인 인간을 일컫는다.
*하드코어 Hard Core
성적표현의 강도를 의미하는 하드 코어는 흔히 X등급 영화를 설명할 때 사용된다.
쉽게 말해서 포르노라고 할 수도 있겠다.
채찍이나 칼로 상대방을 해치는 행위 등이 적나라하게 보여지는 영화를 말한다.
-사전적인 의미 : '포르노, 영화 등 극도로 노골적인'
*하드고어 Hard Gore
많은 사람들이 하드코어와 하드고어를 같은 용어로 오인한다.
하지만, 분명히 이 두 용어는 다르다.
하드고어라 하면 공포영화들 중에서
<데드얼라이브><텍사스살인마> 처럼 그 잔인함의 정도가 진한 영화를 말한다.
전기톱이나 잔디깎는 기계로 사람을 절단한다거나,
피가 사방팔방으로 튀고,
배에서 창자와 온갖 알 수 없는 것들이 튀어나오는 장면들이 나오는 영화를 말한다.
'영화의 세계 > 영화 관련 자료'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인터뷰] 이충렬 감독 "<워낭소리>는 우직한 기다림의 결실" (0) | 2009.02.04 |
---|---|
[스크랩] [씨네21] The Best Movies 1995 ~ 2008 - 한국평론가편 (0) | 2008.07.18 |
[스크랩] [공포영화를 창조하는 아티스트들] (0) | 2008.07.17 |
[스크랩] <봉준호 감독님, 이 리뷰 보셨어요?> (0) | 2008.07.05 |
[스크랩] `천일의 스캔들`, 영화와 역사의 차이 [스크랩] (0) | 2008.04.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