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크랩] [현대고전] 파시즘의 대중심리 - 빌헬름 라이히 [사회] 파시즘의 대중심리 - 빌헬름 라이히 파시즘의 대중심리 - 빌헬름 라이히 월드컵, 장갑차, 노무현, 황우석의 공통점은? 그렇다. 모두 대중과, 대중적인 운동 내지 대중적인 흐름과 관련되어 있다는 사실이다. 사람들이 적극적인 지지나 반대의 의사를 표현하면서 하나의 흐름이, 대중이 되어 커다.. 철학의 세계/철학의 바다 2008.07.31
[스크랩] 냉소적 이성비판1 - 동아일보2005-05-28 "냉소적 이성비판1" 권재현 기자 confetti@donga.com ◇냉소적 이성비판1/페터 슬로터다이크 지음·이진우 박미애 옮김/390쪽·2만3000원·에코리브르 “현대는 본질적으로 비극의 시대다.” 이 말은 D H 로런스의 ‘채털리 부인의 사랑’의 첫 구절이다. 노골적인 성애 묘사로 금서가 됐던 이 소설의 위대함.. 철학의 세계/철학의 바다 2008.06.21
[스크랩] 무엇이 아나키즘인가? 무엇이 아나키즘인가? 리즈 A. 하일리맨/ 역자 : 조약골 이 글은 1988년에 리즈와 (지금은 없어진) 메사추세츠주 보스턴의 아나키스트 그룹 블랙 로즈에 의해 쓰여졌다. 무엇이 아나키즘인가? 아나키즘은 오해로 둘러싸인 하나의 정치철학이다. 이것은 대부분 아나키즘이 다양한 사고방식이어서 단순한 .. 철학의 세계/철학의 바다 2008.05.17
[스크랩] 아나키즘의 도덕 아나키즘의 도덕 자율평론 6호 [기획2 : 바쿠닌, 크로포트킨 그리고 아나키즘] 아나키즘의 도덕 1 인류의 사상사는 한번 요동하는데 수세기를 요하는 진자(侲子)의 요동을 연상케 한다. 장기간의 수면기를 지난 후에 각성의 기간이 오는 것이다. 그때 사상은 당국자―즉 지배자, 입법자, 승려―들.. 철학의 세계/철학의 바다 2008.05.17
[스크랩] 아나키즘의 도덕 아나키즘의 도덕 크로포트킨 1 인류의 사상사는 한번 요동하는데 수세기를 요하는 진자(侲子)의 요동을 연상케 한다. 장기간의 수면기를 지난 후에 각성의 기간이 오는 것이다. 그때 사상은 당국자―즉 지배자, 입법자, 승려―들이 세심히 주의하여 사상을 속박하여 놓았던 사슬로부터 자신을 .. 철학의 세계/철학의 바다 2008.05.17
[스크랩] 아나키즘은 무엇을 주장하는가 아나키즘은 무엇을 주장하는가 허정균 번역 A. 2 아나키즘은 무엇을 주장하는가? 다음으로 내거는 파시 B sherry의 시가, 아나키즘이 실제로 가리키고 있는 사상과 아나키즘을 자극하는 이상을 나타내고 있다. 고결한 영혼을 가지는 인간은 명령하지 않고, 복종도 하지 않는다 권력은, 비참한 페스트와 .. 철학의 세계/철학의 바다 2008.05.17
[스크랩] 바꾸닌의 아나키즘에 관한 연구 바꾸닌의 아나키즘에 관한 연구 서강대 사학과 박사과정 학위 논문(1994) 이 종 훈 Ⅰ. 서론 Ⅱ. 바꾸닌 사상의 형성 요소 A. 프루동 사상의 영향 B. 러시아 인텔리겐챠의 가치관과 인민의 정서 C. 헤겔의 변증법과 피히테의 주의론 Ⅲ. '연대적 자유' A. 자유의 본질 B. 민족의 자유와 인민의 자유 C. 연맹주.. 철학의 세계/철학의 바다 2008.05.17
[스크랩] 베이컨과 동굴의 우상 베이컨과 동굴의 우상 귀납적 방법이란? - 똑같은 일이 되풀이 해서 나타날 때 비로소 경험적 지식이 만들어지고, 또 정당화될 수 있다. 귀납의 문제에 대한 세가지 비판 1. 떨어지는 사과가 만유인력의 법칙을 정당화해 주는 증거가 되지만, 그렇다고 사과 떨어지는 걸 수천 번 수만 번 관찰하고 경험한.. 철학의 세계/철학의 바다 2008.05.16
[스크랩] 버클리 주교 [자린고비 영감과 버클리 주교〕 1. '존재란 지각된 것'이라는 명제의 의미는? 2. 로크의 '제1성질'에 대한 버클리의 비판 - 물질적 대상이 우리의 지각이나 경험에서 독립해 따로 존재할 수 없다. 3. 버클리와 이솝의 대화 a 버클리 : 사과의 존재는 우리가 그것을 지각하는가 여부에 달려 있다. 이솝 : 자.. 철학의 세계/철학의 바다 2008.05.16
[스크랩] 과학자의 청소부, 로크 과학자의 청소부 로크 인간은 백지 상태로 태어난다.- 인간에겐 어떠한 생득 관념도 없다. tabula rasa(백지) - 백지상태로 태어난 인간의 정신 인간의 정신이 백지상태로 시작된다면 인간 정신(오성, Understanding)에 들어 있는 많은 관념과 말, 생각과 지식은 어디서 얻어지는 걸까? 정신이 갖고 있는 모든 추.. 철학의 세계/철학의 바다 2008.05.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