베이컨과 동굴의 우상
귀납적 방법이란?
- 똑같은 일이 되풀이 해서 나타날 때 비로소 경험적 지식이 만들어지고, 또 정당화될 수 있다.
귀납의 문제에 대한 세가지 비판
1. 떨어지는 사과가 만유인력의 법칙을 정당화해 주는 증거가 되지만, 그렇다고 사과 떨어지는 걸 수천 번 수만 번 관찰하고 경험한다고 해서 그 법칙을 발견할 수 있는 건 아니다. 즉 귀납적 추론은 이미 발견된 법칙을 정당화해 줄 수는 있지만, 발견의 기능을 하진 못한다.(러셀)
2. 칠면조와 모이/ 까마귀의 사례(예외 상황 등장의 가능성은 언제나 상존해 있음)
3. 귀납적 방법 자체가 옳다는 것을 어떻게 정당화할 수 있느냐(흄) 귀납적 추론이 타당함을 증명하는 데 다시 귀납적 추론을 사용함. 즉 순환 논리의 오류 발생
베이컨의 네가지 우상(올바른 인식에 도달하는 걸 막는 중요한 장애물 네가지)
1. 동굴의 우상 : 사람이 혼자만의 외고집에 매여 있거나, 심리 성격, 기질, 선호, 교육 같은 저마다의 특질에 사로잡혀 있을 때, 그는 자기만의 동굴 속에서 세계를 바라보고 이해하려 함. 세계상에 대한 주관적인 왜곡을 낳음.
2. 극장의 우상 : 권위에 대한 믿음, 명성에 대한 믿음 때문에 세상을 있는 그대로, 객관적으로 보지 못하게 되는 것을 말함.
3. 종족의 우상 : 종족마다 본성과 감각, 생활, 심지어 사고 능력이 서로 다르고 그에 따라 세상을 이해하고 파악하는 것도 달라짐. 한 종족에 공통된 우상, 환상/자신의 목적에 비추어 자연을 해석하려는 목적론과 통함.
4. 시장의 우상 : 언어의 불완전함에서 생겨남. 상품이 교환되는 영역이 시장이라면 우리의 생각과 뜻이 교환되고 소통되는 영역은 언어. 따라서 언어의 마술이 낳는 오류임
귀납적 방법이란?
- 똑같은 일이 되풀이 해서 나타날 때 비로소 경험적 지식이 만들어지고, 또 정당화될 수 있다.
귀납의 문제에 대한 세가지 비판
1. 떨어지는 사과가 만유인력의 법칙을 정당화해 주는 증거가 되지만, 그렇다고 사과 떨어지는 걸 수천 번 수만 번 관찰하고 경험한다고 해서 그 법칙을 발견할 수 있는 건 아니다. 즉 귀납적 추론은 이미 발견된 법칙을 정당화해 줄 수는 있지만, 발견의 기능을 하진 못한다.(러셀)
2. 칠면조와 모이/ 까마귀의 사례(예외 상황 등장의 가능성은 언제나 상존해 있음)
3. 귀납적 방법 자체가 옳다는 것을 어떻게 정당화할 수 있느냐(흄) 귀납적 추론이 타당함을 증명하는 데 다시 귀납적 추론을 사용함. 즉 순환 논리의 오류 발생
베이컨의 네가지 우상(올바른 인식에 도달하는 걸 막는 중요한 장애물 네가지)
1. 동굴의 우상 : 사람이 혼자만의 외고집에 매여 있거나, 심리 성격, 기질, 선호, 교육 같은 저마다의 특질에 사로잡혀 있을 때, 그는 자기만의 동굴 속에서 세계를 바라보고 이해하려 함. 세계상에 대한 주관적인 왜곡을 낳음.
2. 극장의 우상 : 권위에 대한 믿음, 명성에 대한 믿음 때문에 세상을 있는 그대로, 객관적으로 보지 못하게 되는 것을 말함.
3. 종족의 우상 : 종족마다 본성과 감각, 생활, 심지어 사고 능력이 서로 다르고 그에 따라 세상을 이해하고 파악하는 것도 달라짐. 한 종족에 공통된 우상, 환상/자신의 목적에 비추어 자연을 해석하려는 목적론과 통함.
4. 시장의 우상 : 언어의 불완전함에서 생겨남. 상품이 교환되는 영역이 시장이라면 우리의 생각과 뜻이 교환되고 소통되는 영역은 언어. 따라서 언어의 마술이 낳는 오류임
출처 : text reading
글쓴이 : 여민락 원글보기
메모 :
'철학의 세계 > 철학의 바다'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아나키즘은 무엇을 주장하는가 (0) | 2008.05.17 |
---|---|
[스크랩] 바꾸닌의 아나키즘에 관한 연구 (0) | 2008.05.17 |
[스크랩] 버클리 주교 (0) | 2008.05.16 |
[스크랩] 과학자의 청소부, 로크 (0) | 2008.05.16 |
[스크랩] 후설의 판단중지 (0) | 2008.05.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