철학자와 그의 사상/질 들뢰즈 25

[스크랩] 사회를 떠도는 노마디즘, 개념 불명확해

사회를 떠도는 노마디즘, 개념 불명확해 틀에 얽매이지 않는 정신으로 인기... 철학적 혼동 인정하고 문제의식 회복필요 [1563호] 2007년 05월 20일 (일) 14:14:18 고대신문 kunews@kunews.ac.kr 사진출처 신명식의 세상사는 이야기 노마디즘은 특정한 가치와 삶의 방식에 얽매이지 않고 끊임없이 자기를 부정하면..

[스크랩] 천규석에 대한 이정우의 비판과 김영현 발행인의 반론

지난 2006년 2월 폐사에는 천규석 선생의 『유목주의는 침략주의다』를 펴낸 바 있습니다.(http://www.silcheon.com/book_view.asp?C_code=&B_code=aal021) 이 책에 대한 이정우 선생의 서평이 지난 4월 3일자 『교수신문』에 실렸고(http://www.kyosu.net/?news/view/id=10055), 이에 대해 김영현 발행인은 디지털 문화예술아카데미 자..

[스크랩] 재반론: 홍윤기 교수(교수신문 제403호)의 재비판에 답한다

재반론: 홍윤기 교수(교수신문 제403호)의 재비판에 답한다 “논쟁의 포인트가 무엇인가” … 담론의 윤리 아쉽다 2006년 07월 02일 (일) 00:00:00 이정우 철학아카데미 editor@kyosu.net ▲교수신문 제403호에 실린 홍윤기 교수의 글 이미 방향성을 상실한 논쟁이 되어버려 사족에 불과한 것이 되겠지만, 마지막..

[스크랩] 재반론_이정우 대표의 글(교수신문 제402호)을 읽고 재차 답함

재반론_이정우 대표의 글(교수신문 제402호)을 읽고 재차 답함 “實體 개념 이해 못해” … 탈영토화 실효성 있나 2006년 06월 19일 (월) 00:00:00 홍윤기 동국대 edit@kyosu.net ▲홍윤기 동국대 교수, 철학 © 한겨레천규석 선생의 ‘유목주의는 침략주의이다’에 관한 ‘황해문화’ 서평에서 내가 비판한 것..

[스크랩] 재반론_홍윤기 교수의 반론(교수신문 제401호)을 읽고

재반론_홍윤기 교수의 반론(교수신문 제401호)을 읽고 ‘표현’ 개념 잘못 이해 … 억측 근거로 비판 2006년 06월 12일 (월) 00:00:00 이정우 철학아카데미 edit@kyosu.net 헤라클레이토스의 말처럼 충돌과 갈등을 통해 창조 또한 가능하다. 논쟁이란 이성과 이성의 길항(dia-logos)을 통해서 진리/진실에 한발자국..

[스크랩] 노마디즘 문제의식, 농사꾼 철학자가 원전 파쇼보다 정확

노마디즘 문제의식, 농사꾼 철학자가 원전 파쇼보다 정확 이정우 대표의 반론을 읽고 다시 답함 2006년 06월 05일 (월) 00:00:00 홍윤기 동국대 edit@kyosu.net ▲홍윤기 교수의 글이 실린 황해문화 최근호 © 천규석 선생의 '유목주의는 침략주의다'에 대한 철학아카데미 이정우 대표의 악성 서평(교수신문 ..

[스크랩] 반론: 홍윤기 교수의 비판(황해문화 여름호) 등에 답한다

//--> 반론: 홍윤기 교수의 비판(황해문화 여름호) 등에 답한다 "들뢰즈/가타리 반대로 뒤집어 왜곡" 2006년 06월 05일 (월) 00:00:00 이정우 철학아카데미 edit@kyosu.net 천규석의 ‘노마디즘은 침략주의다’를 읽으면서 황우석을 생각했다. 어디에서 어떻게 풀어야 할지 모르는 아연한 문제들이 얽혀 난맥상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