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학의 세계/신화 이야기

[스크랩] 신들의 제왕 - 제우스

ddolappa 2008. 7. 9. 05:49
 제우스



제우스라는 이름은 어원적으로는 천공(天空)을 의미하며, 제우스는 그리스 민족의 주신(主神)으로, 은혜로운 비를 내리게 하는 천공을 신격화한 것이었다.


카리스마 제우스, 앵그르


                                                            

제우스는 티탄이라고 불리는 거인신족(巨人神族) 중의 하나인 크로노스와 그의 아내 레아의 아들이다.

포세이돈·하데스·헤스티아·데메테르·헤라 등의 동생으로, 6형제의 막내에 해당하며, 누님인 헤라를 아내로 삼고 있다.


제우스는 천공을 지배하는 신으로 천둥과 번개를 뜻대로 구사한다고 생각되어 호메로스의 서사시에서는 ‘구름을 모으는 자’ ‘번갯불을 던지는 자’ 등으로 묘사되어 있다.


Appiani Andrea - Olympus


그러나 제우스는 단순히 천공을 지배하는 신만이 아니었다. 하늘을 지배하는 자인 동시에 전 세계를 통치하는 자이기도 하다. 즉 ‘신들과 인간의 아버지’로서 모든 권력을 주거나 빼앗는 자이며,  벌하고 사회의 질서를 유지하며, 국가의 재앙을 막는 위력을 가지고 있는 신이었다. 또한 제우스는 개인의 소유지나 재산을 보호하고, 아내인 헤라와 함께 결혼을 주관하였다. 따라서 혈족이나 동향자(同鄕者), 같은 지역·단체·직업에 있는 자도 모두 그의 보호 하에 놓였다. 그리고 인간의 운명에 떨어지는 행(幸)과 불행은 모두가 공평무사한 제우스에 의해 할당된다고 생각되었다.


어린 제우스 <어릴 때도 카리스마가 넘친다.>


제우스는 청동시대의 사악한 인간을 멸망시키기 위해 대홍수를 일으켰으나, 그를 공경하는 데우칼리온과 그의 아내 피라, 두 사람을 구해내어 이 지상에 다시 인간을 채우는 방법을 가르쳐주었다. 또한 그는 인간의 마음을 시험해 보기 위해 자신의 모습을 바꾸어 인간의 세계를 찾아가곤 하였다. 그리고 그는 싸움의 조정자이고 정의와 율법을 지배하였다.


한편, 제우스는 아내 헤라 외에 많은 여신(사려의 여신 메티스나 율법의 여신 테미스 등)과 인간인 여자들에게 많은 자식을 낳게 하고 있다. 그러다 보니 그 바람끼 때문에 아내인 헤라와는 항상 갈등의 구조를 가지고 다닌다..


제우스와 헤라 - 애증의 관계


올림포스의 신들 가운데도 그를 아버지로 하고 있는 신들이 많다. 예컨대, 음악·의술·궁술·예언의 신 아폴론, 전령(傳令)이며 나그네의 수호신인 헤르메스, 화산과 대장간의 신 헤파이스토스, 군신(軍神) 아레스는 제우스의 아들이다. 또한 아이톨리아의 왕녀 레다에게 백조의 모습으로 접근하여 미녀 헬레네를 낳게 하고, 아르고스의 왕녀 다나에가 밀실에 갇혀 있을 때 황금의 비로 변신하여 내림으로써 영웅 페르세우스를 낳았다.


이 밖에 헤라클레스도 안피트리온의 아내 알크메네와 제우스 사이에서 낳은 자식이라고 한다.


The Nurture of Jupiter 1635-37 니콜라스 푸생


제우스의 어린  절, 아버지인 크로노스를 피해 크레타 섬의 딕테산의 동굴에서 숨어서 살면서 염소젖을 먹고 자랐다. 

그림에서 황색옷을 입은 여인이 님프인 아말테미아 같다. (제우스를 나무에 메달아서 도, 공중에 있는 것도 아닌 것이 되어 들키지 않았다..들키면 아버지 크로노스가 잡아 먹는다)


젖을 제공한 이 염소는 나중에 죽어 가죽을 남긴다.


죽은 염소는 산양좌가 되고, 그 가죽은 아들 불카누스에게 무적을 방패를 만들게 해, 이를 딸인 미네르바에게 준다..

 


 



출처 : Free As The Wind. (바람처럼 자유로이...)
글쓴이 : 강병현 원글보기
메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