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화를 좋아하면서도 아는 것이 별로 없다. 그것도 그리스 로마 신화에만
치중되어 있다. 그리스 로마 신화만을 좋아해서가 아니라 다른 문화권의
신화들을 접할 기회가 없었다고 한다면 변명일까? 우리나라에 출판되어 있
는 책들 중에서 소수 민족 신화가 얼마나 될까? 이집트는 4대 문명 발상지
중 하나이니 소수 민족 신화라고 하기에는 어폐가 있다 하겠다. 내가 접한
이집트 신화는 신화학자 조셉 캠벨의 저서에서 잠깐 언급된 오시리스 이야
기 정도가 전부다. (진짜 아는 것 없네. -_-) 그리스 로마 신화처럼 세기도
힘들만큼 많은 신들이 등장하는 것은 아니지만 만만치 않게 여러 명의 신들
이 나온다. 게다가 신들의 영역이 명확하게 구분됐다고 하기도 어려워 오
히려 더 어렵게 느껴졌다. 그리스 로마처럼 신들에게 무조건적인 충성을
바치는 것이 아니라 불교 교리처럼 몸과 마음을 갈고 닦아 수련하면 신들의
영역에 들어간다고 믿었던 이집트인들의 내세관 때문에 신들의 세계가 영
적이며 정신적 세계에 대한 비유임이 쉽게 느껴졌다. 현세의 행복과 쾌락
을 추구했던 그리스인들과 달리 삶과 죽음 그리고 죽음 뒤에 무엇이 오는가
를 생각했던 이집트인들의 삶이 더욱 영적이었던 것 같다. 그렇다고 그들
이 정신 세계만을 추구하는 불교권 사람들처럼 현세의 생을 내세보다 가볍
게 여겼던 것은 결코 아니다. ‘즐거운 날을 보내라! 그대의 콧구멍에 유약
과 기름을 바르고 사랑하는 자의 몸 위에 연꽃을 놓으라. 즐거운 날을 보내
라! 그리고 힘들어하지 말라.’ 고대 이집트인의 무덤 벽에 새겨진 이 글귀
를 보면 그들이 생과 사를 어떻게 생각했는지 어렴풋하게나마 느낄 수 있
다.
낯선 내용들이었지만 선명하게 실린 도판들 때문에 적잖은 도움을 받았다.
책의 분량이 적어 깊이 있게 알았다고 할 수는 없지만 대략적인 계보와 역
할 정도는 알 수 있었다. 좋은 개론서였다고 생각한다.
고대 이집트인들은 오늘날 우리가 쓰고 있는 것과 흡사한 달력을 사용했으
며, 페니키아 문자에 영향을 주어 그리스어 알파벳을 발전시켰고, 고대 이
집트 신화는 그리스 신화보다 연대적으로 1,500년 이상 앞서며, 그리스 신
화는 대부분 이집트 신화와 매우 밀접한 관련을 지니고 있다하니 이런 이야
기도 있군, 하고 넘어갈 일이 아니다. 기회가 닿는 대로 이집트 신화에 대
해서 더 공부해봐야겠다는 욕심이 생긴다.
'문학의 세계 > 신화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중국신화전설 1, 2 (0) | 2008.07.09 |
---|---|
[스크랩] 대우치수의 이야기 (0) | 2008.07.09 |
[스크랩] 인간이 탄생된 유래 (0) | 2008.07.09 |
[스크랩] [전설] 천지개벽에 대하여... (0) | 2008.07.09 |
[스크랩] 중국의 창조 신화 (0) | 2008.07.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