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성의 날 특집'에 사용된 아더왕 모티브
-여성은 무엇을 원하는가?
'소녀시대'가 출연한 무한도전 '여성의 날 특집'은 그것이 좋은 의미든 혹은 나쁜 의미든 풍성한(!) 이야기를 남긴 에피소드였습니다.
저는 리뷰에서 멜 깁슨과 헬렌 헌트가 주연한 영화 '웟 위민 원트'(What women want)에서 모티브를 따온 것이라 지적했습니다. 바람둥이 중년남자 역의 멜 깁슨이 어느날 우연한 사고로 여성의 마음을 읽을 수 있는 능력을 획득하게 되면서 여성에 대한 진정한 이해에 도달하게 된다는 로맨틱 코미디 영화입니다. 무한도전이 '여성의 날 특집'의 부제로 사용한 제목은 이 영화에서 차용한 것이지요.
그런데 무한도전에서는 이 영화 이외에 또 다른 모티브가 등장하고 있습니다. 그것은 바로 '아더왕 전설' 중 '거웨인 이야기'입니다. 방송에서 나온 것처럼 이웃나라의 포로가 된 아더왕이 '여성은 무엇을 원하는가'에 대한 답변을 찾아서 모험을 떠나는 내용이 다루어지고 있습니다.
그런 점에서 보면 영화 '웟 위민 원트'는 '여성은 무엇을 원하는가'에 대한 고전적 소재를 현대적으로 각색한 것이고, '거웨인 이야기'는 그것의 원전이라 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무한도전은 영화 '웟 위민 원트'와 아더왕 전설에서 모티브를 차용하는 동시에 자신이 모티브를 차용하고 있는 원전을 밝히고 있는 셈이라 할 수 있습니다.
모티브에 대한 이러한 이해는 '여성의 날 특집'을 기획한 무한도전 제작진의 의도를 살펴보는데 큰 도움을 주고 있습니다. 즉 무한도전 제작진은 인기 여성 아이돌 그룹 '소녀시대'를 출연시켜 그들을 상업적으로 이용하려 했던 것이 아니라 이 시대 여성의 삶에 대한 고민과 반성을 담아내려 했던 것입니다.
'소녀시대'로 남성 시청자들의 시선을 붙잡은 후 여성들이 어떤 생각을 하며 살아가고 있으며, 그들이 진정으로 원하는 삶이란 어떤 것인가에 대한 질문를 던질 생각을 했다는 것 자체만으로도 놀랍지 않습니까?
여러가지 논란에 휩싸이긴 했지만 제작진이 어떤 의도로 '소녀시대'를 출연시켰고, 또 어떤 문제를 다루고자 했는 지에 대해서도 다시 한 번 생각해 본다면, '여성의 날 특집'에 대한 평가나 논의도 약간은 변화하지 않을까 생각해 봅니다.
by ddolappa
뱀다리 : 어떤 분께서 제게 '여성의 날 특집'에 사용된 모티브는 영화 '웟 위민 원트'가 아니라 초서(Chaucer)의 '캔터베리 이야기'(Canterbury Tales) 중 '바스부인(Wife of Bath) 이야기'를 토대로 한 것이 아니냐고 지적해주셨습니다.
하지만 무한도전에서 인용되고 있는 문장은 '아더왕 이야기'에서 나온 것을 그대로 번역한 것이기 때문에 '초서'의 저작에서 모티브를 차용한 것은 아니라는 답변을 드렸습니다.
그런데 '바스부인 이야기' 또한 충분히 페미니즘적 관점에서 수용될 수 있는 이야기이기 때문에 전혀 무관한 주제는 아니라고 할 수 있습니다. 오히려 그 분께서는 무한도전이 다루고 있는 주제를 조금 더 확장시켜 이해해볼 수 있는 단초를 제공하신 거라고 할 수 있습니다.
무한도전이 오락 프로그램이긴 하나 이처럼 다양한 문화적 텍스트들을 끌어들이고 있기 때문에 우리가 갖고 있는 지식과 세계를 바라보는 눈을 넓힐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해주고 있는 것 같습니다.
모티브 문제를 지적해주신 그 분께 이 자리를 빌어 감사의 말씀을 드립니다.
1. 영화 '웟 위민 원트'
2. 무한도전에서 인용된 '아더왕 이야기'
3. '아더왕 전설' 중 '거웨인 이야기'
[거웨인 이야기]
아더왕과 마녀 젊은 아더왕이 복병을 만나 이웃나라 왕에게 포로신세가 되었다. 이웃나라 왕은 아더왕을 죽이려 하였으나 아더왕의 혈기와 능력에 감복하여 아더왕을 살려줄 하나의 제안을 한다. 그 제안이란, 그가 할 매우 어려운 질문에 대한 답을 아더왕이 한다면 아더왕을 살려주기로 한것이다.
이웃나라 왕은 질문에 대한 답을 찾을 기한으로 1년을 주었고 아더왕이 1년안에 답을 찾아오지 못한 경우 처형하기로 하였다.
그 질문은 바로 "여자들이 정말로 원하는 것은 무엇인가? (What do women really want?)" 였다.
이러한 질문은 현명하다는 사람들도 당황시킬 정도의 어려운 질문인데 하물며 젊은 아더왕은 어쩌랴. 아더왕에게는 풀 수 없는 질문으로 보였다. 그러나 죽음보다는 나았기에 아더왕은 이웃나라왕의 제안을 받아들여 1년동안 그 질문에 대한 답을 찾기에 나선다.
아더왕은 자신의 왕국에 돌아와서 모든 백성들에게 묻기 시작했다. 공주들, 창녀들, 승려들, 현자들, 그리고 심지어 광대들에게까지 모두 물어보았다. 하지만 그 누구도 만족할 만한 답을 줄 수 있는 사람이 없었다.
아더왕의 신하들이 왕에게 말하기를 북쪽에 늙은 마녀가 한명 사는데 아마 그 마녀는 답을 알것이라고 그 마녀를 데려오는 것이 어떠냐고 제안했다. 그러나 그 마녀는 말도 안되는 엄청난 댓가를 요구하는 것으로 유명하였다.
1년이 지나 마지막 날이 돌아왔고 아더왕에게는 늙은 마녀에게 물어보는 것 이외에 선택의 여지가 없게 되었다. 늙은 마녀는 답을 안다고 선뜻 대답하였지만 엄청난 댓가를 요구하였다. 그 댓가란 아더왕이 거느린 원탁의 기사들중 가장 용맹하고 용모가 수려한 거웨인과 결혼하는 것이었다.
아더왕은 충격에 휩싸였고 주저하기 시작했다. 늙은마녀는 곱추였고 섬찟한 기운이 감돌기까지 하였다. 이빨은 하나밖에 없었고 하수구 찌꺼기 같은 냄새를 풍겼으며 항상 이상한 소리를 내고 다녔다. 아더왕은 이제까지 이렇게 더럽고 추잡한 생물은 본적이 없었고 이런 추한 마녀를 자기의 가장 충성스러운 신하인 거웨인에게 결혼하라고 명령할 수가 없었다.
그러나 거웨인은 자기가 충성을 바치는 아더왕의 목숨이 달려있는 만큼 주저없이 그 마녀와 결혼을 하겠다고 자원했다. 결혼이 진행되었고 결국 마녀는 아더왕이 가진 질문에 대한 정답을 이야기하였다. 여자들이 정말로 원하는 것은 바로 자신의 삶을 자신이 주도하는 것, 곧 자신의 일에 대한 결정을 남의 간섭없이 자신이 내리는 것이라고 하였다.(What women really want is to be in charge of her own life)
정답을 듣자 모든 사람은 손바닥을 치며 저 말이야말로 진실이고 질문에 대한 정답이라고 하며 아더왕이 이제 죽을 필요가 없음에 기뻐하였다. 아더왕은 이웃나라왕에게 질문에 대한 답을 하였고 이웃나라왕은 그것이야말로 진실이며 정답이라며 기뻐하면서 아더왕의 목숨을 보장해주었다.
하지만 목숨을 되찾은 아더왕에게는 근심이 남아있었다. 자신이 가장 총애하는 거웨인의 결혼에 대한 것이었다. 아더왕은 목숨을 되찾은 기쁨에 넘쳐있었지만 동시에 거웨인에 대한 일로 근심에 쌓여있었다. 그러나 거웨인은 대단한 사람이었다. 늙은 마녀는 결혼하자마자부터 최악의 매너와 태도로 거웨인을 비롯한 모든 사람을 대했다. 그러나 거웨인은 한치의 성냄이나 멸시없이 오직 착하게 자신의 아내로서 마녀를 대했다. 첫날밤이 다가왔다. 거웨인은 자신의 인생에 있어서 최악의 경험이 될지도 모르는 첫날밤을 앞에두고 숙연히 침실에 들어갔다.
그러나 침실안의 광경은 거웨인을 놀라게 하기에 충분하였다. 거웨인의 인생에서 본적없는 최고의 미녀가 침대위에서 그를 기다리고 있었다. 놀란 거웨인이 미녀에게 어찌된 일이냐고 물었다. 미녀는 말했다. 자신이 추한 마녀임에도 거웨인은 항상 진실로 그녀를 대했고 아내로 인정하였으므로 그에 대한 감사로서 이제부터 삶의 반은 추한 마녀로, 나머지 반은 이 아름다운 미녀로서 있겠노라고 하였다.
그러면서 마녀는 거웨인에게 물었다. 낮에 추한 마녀로 있고 밤에 아름다운 미녀로 있을 것인가, 아니면 낮에 아름다운 미녀로 있고 밤에 추한 마녀로 있을 것인가. 거웨인에게 선택을 하라고 하였다. 거웨인은 이 진퇴양난의 딜레마에서 선택을 해야만 했다. 만일 낮에 아름다운 미녀로 있기를 바란다면 주위사람에게는 부러움을 사겠지만 밤에 둘만의 시간에 추한 마녀로 변한다면 어찌 살것인가. 아니면 반대로 낮에 추한 마녀로 있어 주위사람의 비웃음을 사겠지만 밤에 둘만의 시간에 아름다운 미녀로 변해 살것인가.
당신이라면 어떤 것을 선택하겠는가?
거웨인이 선택한 것은 아래에 씌여있다. 하지만 먼저 당신이 선택을 하고 선택한 후에 거웨인의 선택을 읽어보기를 바란다.
거웨인은 마녀에게 자신이 직접 선택하라고 말했다. 마녀는 이 말을 듣자마자 자신은 반은 마녀 반은 미녀 할것없이 항상 아름다운 미녀로 있겠노라고 말했다. 이유는 거웨인이 마녀에게 직접 선택하라고 할만큼 마녀의 삶과 결정권, 그리고 마녀 자체를 존중해주었기 때문이라고 하였다.
[출처 : 인터넷, 검색 : google]
'무한도전 > 발로 쓰는 무한도전 리뷰' 카테고리의 다른 글
<67> 예능계를 여행하는 히치하이커를 위한 안내서 (0) | 2009.05.16 |
---|---|
<57> 캐릭터 중심에서 스토리 중심으로 (0) | 2009.05.13 |
<58> 아이돌과 아이돌이 만났을 때 (0) | 2009.03.11 |
<54> 이카로스의 날개 (0) | 2009.02.13 |
<53> 새는 알을 깨고 나온다 (0) | 2009.02.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