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크랩] <들뢰즈-존재의 함성>을 통한 들뢰즈 담론: 이정우vs이진경 대담 <들뢰즈-존재의 함성>을 통한 들뢰즈 담론: 이정우vs이진경 "신간[<들뢰즈-존재의 함성>(박정태 역, 이학사, 2001)]은 1990년대 들어 우리 지식사회에서 각광을 받은 프랑스의 탈근대주의 철학자 질 들뢰즈(1925-1995) 의 사상을 비판한 책이다. 다소 생소한 이름인 저자 바디우는 현재 프랑스에.. 철학자와 그의 사상/질 들뢰즈 2008.08.01
[스크랩] 혼동되는 유목주의, 실체는 무엇인가? * 서울대학교 대학신문(2007. 4. 11) / 혼동되는 유목주의, 실체는 무엇인가? 이민석 기자 ground28@snu.ac.kr ▲ 이정우…"들뢰즈-가타리의 개념에 처음부터 가치론적 함의 넣었기 때문에 오해 초래했다" ▲ 김상환…"『안티-오이디푸스』에서부터 자본주의에 대한 들뢰즈-가타리의 관점 애매해" ▲ 이성민…".. 철학자와 그의 사상/질 들뢰즈 2008.08.01
[스크랩] 사회를 떠도는 노마디즘, 개념 불명확해 사회를 떠도는 노마디즘, 개념 불명확해 틀에 얽매이지 않는 정신으로 인기... 철학적 혼동 인정하고 문제의식 회복필요 [1563호] 2007년 05월 20일 (일) 14:14:18 고대신문 kunews@kunews.ac.kr 사진출처 신명식의 세상사는 이야기 노마디즘은 특정한 가치와 삶의 방식에 얽매이지 않고 끊임없이 자기를 부정하면.. 철학자와 그의 사상/질 들뢰즈 2008.08.01
[스크랩] ③ 우리는 호모 사케르, 그러나 저항의 가능성은 도처에 있다 우리는 호모 사케르, 그러나 저항의 가능성은 도처에 있다 [연재] 21세기의 사유들 ③ 조르지오 아감벤 2007년 09월 15일 (토) 18:19:12 대학신문 snupress@snu.ac.kr 정치철학, 미학, 언어학, 문헌학 등 여러 주제에 대해 정치한 분석을 내놓고 있는 이탈리아 철학자 조르지오 아감벤(Giorgio Agamben)은 2000년대 들어 .. 철학자와 그의 사상/조르지오 아감벤 2008.08.01
[스크랩] 발터 벤야민의 미메시스론 발터 벤야민의 미메시스론 최 성 만 (이화여대 독문과 교수) - smchoi@ewha.ac.kr I. 미메시스 일반에 대해 고대 희랍에서 유래하는 “미메시스 Mimesis”라는 말은 정신과학과 사회과학에서 생소한 개념은 아니다. 하지만 그 말은 얼마전까지만 해도 주로 예술 및 문학이론의 분야에서만 거론되어 왔다. 미메.. 철학자와 그의 사상/발터 벤야민 2008.08.01
[스크랩] 지젝과 지저거리며 함께 머물기 지젝과 지저거리며 함께 머물기 2007-04-26 00:31 막간에 지젝의 <부정적인 것과 함께 머물기>(도서출판b, 2007)에 대한 리뷰를 하나 옮겨온다. 본격적인 리뷰가 드물던 차에 반가운 글이면서 동시에 책에 대한 독해를 다시금 부추기는 글이다. 5월에는 나도 시간을 낼 수 있으면 좋겠다. 컬쳐뉴스(07. 04. 2.. 철학자와 그의 사상/슬라보예 지젝 2008.08.01
[스크랩] 민족주의와 잉여향락(1) 민족주의와 잉여향락(1) 2007-03-25 22:13 지젝의 <부정적인 것과 함께 머물기>(도서출판b, 2007)의 제6장을 읽는 것이 이번달 '사회적 독서'의 한 가지 목표량이었다. 어느새 마지작 한 주를 남겨놓고 있어서 부랴부랴 책을 들고 10여쪽을 읽었다. 공부란 읽는 것만으로는 부족해서 읽은 내용에 대해서 말.. 철학자와 그의 사상/질 들뢰즈 2008.08.01
[스크랩] 패리스 힐튼과 카트린 밀레 지젝의 <혁명이 다가온다>(길, 2006)의 한 대목을 옮겨놓고 주석을 달도록 한다. 5장 '레닌은 자신의 이웃을 사랑했는가'에 들어있는 대목인데, 오늘날 공과 사의 경계가 소멸돼 가고 기이하게 전도되는 현상을 문제삼고 있다. 사실 지젝의 모든 구절들이 이러한 '뜯어읽기'의 대상이 됨 직하하다. 그.. 철학자와 그의 사상/슬라보예 지젝 2008.08.01
[스크랩] 지젝의 라캉, 지젝의 맑스 로쟈 () l 2007-06-23 http://blog.aladdin.co.kr/mramor/1343835 경희대 대학원신문(제152호)의 특집기사를 자료삼아 스크랩해놓는다. 출처는 학술저널 담비이다. 편집자의 말은 아래에 옮겨져 있는데, 초점은 지젝이 이해하는 라캉과 맑스가 어떤 라캉이고 어떤 맑스인지를 살펴본다는 것이다. 자세한 정독은 다음으.. 철학자와 그의 사상/슬라보예 지젝 2008.08.01
[스크랩] 들뢰즈와 `하나의 삶` 들뢰즈와 '하나의 삶' http://blog.aladdin.co.kr/mramor/1584851 본문의 너비가 페이퍼의 제한 너비를 초과한 글입니다. 여기를 클릭하면 새창에서 원래 너비의 글로 확인할 수 있습니다. 어제 '들뢰즈 철학사'란 리스트를 만들게 된 빌미가 되기도 했지만 최근 <들뢰즈가 만든 철학사>(이학사, 2007)란 책이 출.. 철학자와 그의 사상/질 들뢰즈 2008.08.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