철학자와 그의 사상 112

자크 랑시에르 관련 글 링크 모음

자크 랑시에르 "민주주의의 핵심은 불화를 용인하는것" http://news.hankooki.com/lpage/culture/200812/h2008120202504884330.htm “미학은 감각적 경험을 분배하는 체제다” http://www.sisain.co.kr/news/articleView.html?idxno=3396 자크 랑시에르 “비정규직 노동운동이 새 정치의 희망” http://www.hani.co.kr/arti/culture/culture_general/325246.ht..

[스크랩] 롤랑 바르트(현대의 신화)

롤랑 바르트 롤랑 바르트(프랑스: Roland Barthes, 1915년 ~ 1980년)는 불란서의 구조주의 철학자이자 비평가이다. [편집] 생애 소르본대학에서 고전문학을 공부한 다음에, 파리에서 고등학교 선생을 했다. 이후 부카레스트, 알렉산드리아에서 대학강사를 하며 보냈고, 1952년 파리의 국립과학센터(프랑스어: Ce..

[스크랩] 롤랑 바르트 - 언어에 대한 역사적 관심에 대한 흔적

롤랑 바르트 (Roland Gérard Barthes) : 프랑스의 구조주의 철학자이자 비평가 소설, 영화, 만화, 사진, 패션 등 현대사회를 상징하는 다양한 상징들에 대한 '읽기'를 시도하며 1960년대 이후 프랑스를 중심으로 한 현대문학과 이론의 모든 전위적 움직임에 중심부에 있었다고 평가받는 인물이다.롤랑 바르트..

[스크랩] "파시즘과 비인간주의 사이에서 외면당하는 들뢰즈와 가타리"

파시즘과 비인간주의 사이에서 외면당하는 들뢰즈와 가타리 ─지난 호 이종영의 들뢰즈 비판에 반론을 제기하며 _ 김재인 1 글을 쓰게 된 계기부터 밝히겠다. 『문학과사회』 2002년 여름호에 실린 이종영의「파시스트 들뢰즈와 가타리가 반(反)파시즘을 말하다」는 너무 심하다는 생각이 들었다. 편집..

[스크랩] 라깡, 욕망의 시니피앙 - 김인호

라깡, 욕망의 시니피앙 / 김인호 라깡이라는 기표(시니피앙)는 붙잡으려고 하면 할수록 자꾸만 달아난다. 그가 설명하는 기표도 마찬가지이다. 그것을 이해했다고 생각하는 순간 그것은 저 멀리 달아나서 우리를 비웃고 있다. 어쩌면 라깡, 혹은 어떤 개인이라도 그것을 언어로 설명하려고 할 때 나타..

[스크랩] 라캉입문-(4)실재와 사물의 향락

라캉입문-(4)실재와 사물의 향락 생각해보니 계획했던 라캉 입문의 마지막 부분은 오래 미뤄두고 있어 부랴부랴 업데이트합니다. 그래서(...) 너무나 긴 간극을 거친 끝에, 우리는 겨우 포스팅의 '실재'Real와 마주하게 된 셈입니다. 실재계 혹은 실재라고 번역되는 대문자 Real은, 흔히 라캉 이론을 구성..

[스크랩] "비트겐슈타인의『논고』에서의 `대상` 개념"

"비트겐슈타인의『논고』에서의 '대상' 개념" ※ 비트겐슈타인의『논고』를 읽으면서 제일 이해하기 어려웠던 부분 중의 하나는 (『논고』에 나타난) '대상' 개념이었다. 본고에서는 아래의 논문들을 통해, 비트겐슈타인의 '대상' 개념에 대한 하나의 해석을 이끌어 내려고 한다. 「비트겐슈타인의 이..

[스크랩] 푸코와 데리다 논쟁 1 - 역사와 권력

푸코와 데리다 논쟁 1 - 역사와 권력 박 정자 (상명대 불어교육과 교수) 미셸 푸코와 자크 데리다의 논쟁을 모르고는 진정 두 철학자의 사상을 이해했다고 할 수 없다. 사르트르와 카뮈, 그리고 사르트르와 레이몽 아롱의 논쟁이 각기 두 사람들 간의 우정의 결별을 가져왔듯이 푸코와 데리다의 논쟁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