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크랩] [철학]A. N. Whitehead,오영환 역,『과정과 실재』(민음사,1991) 이 리뷰는 1991년 11월 17일자 조선일보에 기고한 도올 김용옥의 화이트헤드의『과정과 실재』란 책의 서평이다. 그의 글은 너무나 재미있다. 박식한 동서양 고전의 풍부한 해설은 자뭇 빠져들게 한다. 다음은 도올 김용옥의 리뷰다. 글/ilovepalgong 어려운 문장의 그 어려움에는 두 가지 이유가 있다. 하나.. 철학자와 그의 사상/A.N.화이트헤드 2008.07.05
[스크랩] [철학] 비트겐슈타인과 논리실증주의 비트겐슈타인과 논리실증주의 20세기 초 철학계는 아인슈타인의 상대성이론에 의해 뉴턴적 세계관이 붕괴하면서, 그리고 프레게와 러셀 등에 의해 발전된 새로운 기호논리학과 힐버트 등에 의해 진행된 수학기초론 논의에서 큰 영향을 받았다. 칸트에 의하면 선험적 종합의 대표적 지식이었던 뉴턴 .. 철학자와 그의 사상/비트겐슈타인 2008.07.05
[스크랩] 비트겐슈타인의 역설 비트겐슈타인의 意圖한 逆說의 問題. - [論理 哲學 論考]를 中心으로 - 200004228 哲學科 3年 최정주(崔精周) 1. 들어가는 마당. “비트겐슈타인은 20세기의 위대한 哲學者이다”라고 말하는 것은 이미 食傷한 문장이 되어버렸다. 英美 哲學的 風土에서의 學에 대한 그의 影響은 두 말 하면 잔소리가 되는 .. 철학자와 그의 사상/비트겐슈타인 2008.07.05
[스크랩] "인간은 언제나 타인이 욕망하는 것을 욕망한다- 라캉"에 대한 리뷰 -이정우 [리뷰] 라캉 - 인간은 언제나 타인이 욕망하는 것을 욕망한다 라캉은 인간이 어릴 때(6~18개월) 엄마와 타인의 세계를 동일시하는 상상계를 경험한다. 이후 언어를 배우면서 사회, 즉 상징의 세계에 진입한다. 이전의 상상계는 무의식화되면서 상징계의 의식세계와는 겉으로는 단절된다. 라캉은 '자기 .. 철학자와 그의 사상/자크 라캉 2008.07.05
[스크랩] 쿤과 비트겐슈타인 - 언어게임 관련 쿤과 비트겐슈타인 -패러다임과 언어 게임을 중심으로- 1. 머리말 인간이란 무엇인가? 세계란 무엇인가? 철학적 사유의 출발점이라고 할 수 있는 이러한 물음들은 무엇에 대한 단일한 특성, 즉 본질이 있다는 믿음 아래 있다. 본질은 어떤 사물 그 자체의 특성이며, 부수적이고 가시적인 것들을 뛰어넘.. 철학자와 그의 사상/비트겐슈타인 2008.07.05
[스크랩] 94 분석철학의 탄생: G.E.무어와 L. 비트겐슈타인(1873-1958년) 94 분석철학의 탄생: G.E.무어와 L. 비트겐슈타인(1873-1958년) 그때 세계에서는 1939년: 제2차 세계대전 발발 1943년: 모스크바에서 미, 영, 소 3국 외상회의 열림 비트겐슈타인 지금은 인문 계통의 철학이 영국에서는 옥스퍼드 대학을 중심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그러나 언어분석을 이끌어온 초창기의 철학자.. 철학자와 그의 사상/비트겐슈타인 2008.07.05
[스크랩] 비트겐슈타인과 철학 비트겐슈타인과 철학 박 병 철 부산외대 철학과 교수 1. 들어가는 말 비트겐슈타인은 전통적인 철학의 방법에서 벗어나 새로운 스타일로 철학을 했다. 이것은 그를 철학사에서 매우 중요한 인물로 평가받게 하는 이유중의 하나가 되었지만, 동시에 그의 철학 전반에 대한 이해를 어렵게 만드는데도 일.. 철학자와 그의 사상/비트겐슈타인 2008.07.04
백승영 - 니체의 <도덕의 계보> 해제 니체. 도덕의 계보(Zur Genealogie der Moral) 백 승 영 1. 《도덕의 계보》해제 1.1 과제 《도덕의 계보》는 도덕 개념 및 도덕 가치의 발생사(Entstehungsgeschichte)를 다루는 책이다. 그러나 도덕 개념 및 도덕가치의 발생사는 아주 복잡한 문제영역을 포함하며, 그 문제영역은 적어도 다음처럼 네 가지 분리된 과.. 철학자와 그의 사상/프리드리히 니체 2008.06.23
김진석 - 폭력과 근본주의 사이로 : 니체를 수정하며 폭력과 근본주의 사이로 - 니체를 수정하며 김 진 석 첫째 착지점--- 힘과 권력이 엄청난 문화적 혼돈 속에 있는 오늘의 상황에서 ‘권력’개념을 정치학적으로 혹은 정치철학적으로 분명하게 할 필요가 있다. 니체가 철학사에서 실현한 커다란 성취는 그 개념을 공식적으로 만들었다는 데 있을 것이.. 철학자와 그의 사상/프리드리히 니체 2008.06.23
김재인 - 들뢰즈 스케치 들뢰즈 스케치 - 단편들 김재인 (1) 고원의 사유 질 들뢰즈의 철학은 자기도 모르게 노예로 살아가게 되는 우리의 삶을 폭로하고 주인의 길을 갈 수 있게 해주는 커다란 자극제이다. 스피노자와 니체 연구를 통해 들뢰즈는 노예로서 사는 삶은 자신의 고유한 역량을 다 발휘하지 못하는 삶이라고 알려준.. 철학자와 그의 사상/질 들뢰즈 2008.06.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