철학자와 그의 사상 112

[스크랩] 푸코와 데리다의 논쟁 2 - 역사와 권력

역사와 권력 - 박정자 : Michel Foucault 2000-05-30 박 정자 : 푸코와 데리다 논쟁 권력은 참으로 불가사의한 것이다. 감옥에 가거나 총에 맞아죽을 위험을 무릅쓰면서 사람들은 권력을 추구한다. 동서고금의 모든 역사는 권력의 추구와 쟁탈, 그리고 그 빼앗김과 이동의 연대기이다. 흔히 사람들은 권력을 왕 ..

[스크랩] 긍정과 창조의 철학자, 들뢰즈

긍정과 창조의 철학자, 들뢰즈[김재인] "들뢰즈 사상의 핵심들을 통해 프랑스 철학의 성격을 조명해 보고 그의 사상의 역사적 의미를 살펴본다. 아울러 그의 철학이 세계 철학에 미친 영향을 검증해 본다." 내가 받은 청탁 내용이다. 이 요구 사항을 꼭 지켜야 할 필요는 없다는 편집자의 단서가 있긴 ..

[스크랩] 차이와 공명 : 들뢰즈에게서 존재론과 정치철학의 관계

차이와 공명 : 들뢰즈에게서 존재론과 정치철학의 관계 박서현 분명 여기서 차이의 철학은 아름다운 영혼의 담론으로 빠져 들 위험성을 걱정해야 한다. 그 담론에 따르면, 어떤 차이들이 있고 또 오직 차이들밖에 없지만 사회적 장소와 기능들의 이념 안에서 평화롭게 공존하고 있다. … 하지만 이런 ..

[스크랩] [쟁론: 들뢰즈의 정치이론] 들뢰즈의 소수정치와 네그리의 삶정치

[쟁론: 들뢰즈의 정치이론] 들뢰즈의 소수정치와 네그리의 삶정치 조정환 들뢰즈의 소수정치와 네그리의 삶정치 조정환 -------------------------------------------------------------------------------- 어떤 탈근대적 저자들은 출현하고 있는 모델의 주변부에서 구멍이 난 곳을 찾는다. 그러나 그 주변부는 초월의 문턱 ..

[스크랩] 사회적 환상이여, 타자의 결핍을 메워라!―실재계에 대한 재해석을 중심으

사회적 환상이여, 타자의 결핍을 메워라!―실재계에 대한 재해석을 중심으로* 양운덕 / 고려대 강사 I. 들어가면서 지젝은 흥미로운 이론가이다. 우리가 라깡에게 물어보고 싶었던 난해한 개념들을 그가 대중문화 현상으로 설명하는 점만으로도 흥미를 끌만하다. 물론 이런 해석이 단순히 라깡 이론을..

[스크랩] 니이체와 니이체 이후

니이체와 니이체 이후 김인호 니이체는 신이 죽었다고 말한다. 그렇다면 이 말은 이전에는 신이 있었다는 말인가? 아니, 그것은 니이체 이전까지는 사람들이 자신의 의식 속에 신을 품고 살았다는 말이다. 그렇다면 신이란 무엇인가? 로고스 중심주의, 이성 중심주의의 형이상학이다. 그리하여 니이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