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크랩] 푸코와 데리다의 논쟁 2 - 역사와 권력 역사와 권력 - 박정자 : Michel Foucault 2000-05-30 박 정자 : 푸코와 데리다 논쟁 권력은 참으로 불가사의한 것이다. 감옥에 가거나 총에 맞아죽을 위험을 무릅쓰면서 사람들은 권력을 추구한다. 동서고금의 모든 역사는 권력의 추구와 쟁탈, 그리고 그 빼앗김과 이동의 연대기이다. 흔히 사람들은 권력을 왕 .. 철학자와 그의 사상/미셸 푸코 2008.08.01
[스크랩] 긍정과 창조의 철학자, 들뢰즈 긍정과 창조의 철학자, 들뢰즈[김재인] "들뢰즈 사상의 핵심들을 통해 프랑스 철학의 성격을 조명해 보고 그의 사상의 역사적 의미를 살펴본다. 아울러 그의 철학이 세계 철학에 미친 영향을 검증해 본다." 내가 받은 청탁 내용이다. 이 요구 사항을 꼭 지켜야 할 필요는 없다는 편집자의 단서가 있긴 .. 철학자와 그의 사상/질 들뢰즈 2008.08.01
[스크랩] 차이와 공명 : 들뢰즈에게서 존재론과 정치철학의 관계 차이와 공명 : 들뢰즈에게서 존재론과 정치철학의 관계 박서현 분명 여기서 차이의 철학은 아름다운 영혼의 담론으로 빠져 들 위험성을 걱정해야 한다. 그 담론에 따르면, 어떤 차이들이 있고 또 오직 차이들밖에 없지만 사회적 장소와 기능들의 이념 안에서 평화롭게 공존하고 있다. … 하지만 이런 .. 철학자와 그의 사상/질 들뢰즈 2008.08.01
[스크랩] 들뢰즈의 의미론 들뢰즈의 의미론 조정환 󰡔의미의 논리󰡕에서 영원회귀의 시간은 순수생성으로 나타난다. 차이가 있다면 그것을 언어와 관련짓는 것이다. 두 개의 언어가 있다. 형상의 작용을 받아들이는 정지와 고정의 언어, 그리고 운동과 생성을 표현하는 언어.1) 명사와 형용사가 무너져 순수생성.. 철학자와 그의 사상/질 들뢰즈 2008.08.01
[스크랩] [쟁론: 들뢰즈의 정치이론] 들뢰즈의 소수정치와 네그리의 삶정치 [쟁론: 들뢰즈의 정치이론] 들뢰즈의 소수정치와 네그리의 삶정치 조정환 들뢰즈의 소수정치와 네그리의 삶정치 조정환 -------------------------------------------------------------------------------- 어떤 탈근대적 저자들은 출현하고 있는 모델의 주변부에서 구멍이 난 곳을 찾는다. 그러나 그 주변부는 초월의 문턱 .. 철학자와 그의 사상/질 들뢰즈 2008.08.01
[스크랩] 들뢰즈의 타자 이론 들뢰즈의 타자 이론 김 지 영<부산대> Ⅰ. 서구의 형이상학에서 타자의 문제는 데카르트(R. Descartes)에 의해 확립된 의식 철학의 한계를 폭로하는 동시에 모든 것을 주관화하여버린 의식 철학의 대안을 강구하는 계기를 제공하였다. 코기토(Cogito)가 중심이 된 의식 철학은 어떻게 알 수 있는가라는 .. 철학자와 그의 사상/질 들뢰즈 2008.08.01
[스크랩] 들뢰즈와 리좀의 사유 들뢰즈와 리좀의 사유 이정우( 철학아카데미 원장) 들뢰즈는 푸코, 데리다와 더불어 현대 철학을 대표하는 인물이다. 들뢰즈는 철학사에 대한 방대하고도 독창적인 독해 과정을 통해서 자신의 사유 틀을 만들어나갔다. 들뢰즈는 기존의 철학사 이해와는 상반되는 독해를 내놓음으로써 철학의 새로운 .. 철학자와 그의 사상/질 들뢰즈 2008.08.01
[스크랩] 사회적 환상이여, 타자의 결핍을 메워라!―실재계에 대한 재해석을 중심으 사회적 환상이여, 타자의 결핍을 메워라!―실재계에 대한 재해석을 중심으로* 양운덕 / 고려대 강사 I. 들어가면서 지젝은 흥미로운 이론가이다. 우리가 라깡에게 물어보고 싶었던 난해한 개념들을 그가 대중문화 현상으로 설명하는 점만으로도 흥미를 끌만하다. 물론 이런 해석이 단순히 라깡 이론을.. 철학자와 그의 사상/슬라보예 지젝 2008.08.01
[스크랩] 니이체와 니이체 이후 니이체와 니이체 이후 김인호 니이체는 신이 죽었다고 말한다. 그렇다면 이 말은 이전에는 신이 있었다는 말인가? 아니, 그것은 니이체 이전까지는 사람들이 자신의 의식 속에 신을 품고 살았다는 말이다. 그렇다면 신이란 무엇인가? 로고스 중심주의, 이성 중심주의의 형이상학이다. 그리하여 니이체.. 철학자와 그의 사상/프리드리히 니체 2008.08.01
[스크랩] 들뢰즈의 칸트 읽기 들뢰즈의 칸트 읽기 김인호 칸트의 이성은 입법자이다. 이성은 추리하고, 지성은 판단한다. 그래서 미학에서는 상상력이 입법하는 것이 아니라, 지성이 입법한다. 그런데 그것은 대상에 대해 입법하는 것이 아니라 자기자신에 대해서 입법한다. 우리는 입법자이기는 하나 유한자로서 이성에 대한 입법.. 철학자와 그의 사상/질 들뢰즈 2008.08.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