철학의 세계/미디어의 철학

[스크랩] 미디어 프레임, 프레이밍, 프레이밍효과

ddolappa 2008. 5. 16. 04:43

프레임과 미디어 프레임, 프레이밍, 프레이밍 효과는 각각 다르다. 어떻게 다른가?

 

뉴스는 이론적 수준 이전의 '상식'에 속하는 지식이다. 오늘날 뉴스는 '사회의 존재에 필수적인 의미구조를 구성하는 지식'(Berger & Luckman)이다. 정치적 세계에 대한 정보는 대부분이 미디어의 뉴스를 통해 전달된다.

 

뉴스와 현실과의 관계는 기본적으로 두가지 상반된 관점으로 나뉜다. 뉴스가 현실을 반영한다는 현실반영론과 현실을 구성한다는 구성론

하지만, 이 둘의 상관관계에 촛점을 둔 구성주의적 접근법이 타당성을 얻고 있다.

 

프레임개념은 뉴스가 사회적으로 구성된다는 이론에 바탕을 두고 있다. '뉴스가 세계를 향해 나있는 창'개념이다.

-프레임: 프레임이란 사회적 사건과 그 사건에 대한 우리의 주관적 참여를 지배하는 조직의 원칙(Goffman). 프레임이 없으면 현실은 감각적 사실들의 단순한 집합에 불과하지만, 프레임이 있음으로 해서 현실은 일정한 질서를 부여받고 의미를 갖게 된다.(코끼리에 대해 생각하지마)

 

- 미디어 프레임: 미디어 프레임은 인식과 해석과 제시, 그리고 선택과 강조와 배제의 지속적인 패턴으로서 상징을 다루는 사람들은 이것으로 담론을 상투적으로 조직한다(gitlin)

 

이러한 사회적 접근과는 달리 프레이밍이라는 용어를 선호하는 심리학적 분석의 연구들은 뉴스 보도 양식이 수용자의 선택과 해석에 미치는 효과에 주목한다.

 

프레이밍은 판단 및 선택의 문제를 표현하거나 제시하는 데서의 미묘한 변경을 의미하며, 틀짓기 효과란 그런 변경으로 야기된 의사결정의 변화(Iyenger). 아이옌거에 따르면, 텔레비전 뉴스의 프레임은 일회적(episodic) 프레임과 주제적(thematic) 프레임으로 구분된다.(Iyenger, Framing Effect of news coverage, 1991). 부랑자의 비참한 생활, 청소년 마약중독자, 비행기 폭파, 살인미수

 

결국 tv 뉴스의 에피소드 중심 프레이밍은 책임을 사회보다는 개인에게 귀속시키고 결국 기성체제의 유지에 도움을 주는 방향으로 작용한다.

 

반면, 프라이밍은 (Iyenger & kinder, The priming Effect ,1987)은 다른 것은 무시하게 하고 특정한 문제이멘 주의를 집중시킴으로써 TV 뉴스는 정치부문을 평가하는 기준에 영향을 미친다.

 

이와 반대 개념으로 투사(PROJECTION)이 있다. 특정사안에 대한 TV 보도에 대해 시청자는 대통령에 대한 기존의 평가수준에 맞추어 그 무제를 파악한다는 것이다.

 

언론은 결국 현실을 있는 그대로 반영할 수 없을 뿐 만 아니라, 오히려 현실을 사회적으로 왕성하게 구성하고 있다.그리고 이 구성된 현실은 또하나의 현실로서 다시 미디어에 반영되는 순환을 반복한다. 이 과정에서 생겨난 대중수용자의 인식의 총합이 결국은 여론인 셈이다.

여론은 미디어의 반영과 구성 사이에서 끊임없이 변화하고, 이 변화의 줄기가 형성되면 하나의 여론으로 손에 잡히게 된다.

 

미디어의 중요성!!!

미디어는 현실이다.

 

 

 

 

 

 

출처 : 홍경수 피디의 방송생활
글쓴이 : kyung-soo hong 원글보기
메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