철학자와 그의 사상/도산 안창호

[스크랩] 인격완성, 단결훈련

ddolappa 2016. 8. 23. 02:09

대한의 청년들에게 당부하고 싶은 말은 많으나 그 중 몇 가지만을 말하고자 합니다. 지금 우리 민족은 일제 치하의 참담하고 비통한 고해(苦海)에서 해매며 캄캄한  먹구름속에서 방황, 주저하고 있습니다. 이렇게 참담한 상황에서 대한의 청년들은 어떠한 자세로 임하고 있습니까? 


우리 대한 청년들이 가장 먼저 힘써야 할 일은 인격훈련과 단결훈련입니다. 지금 때가 어느 땐데 우리 생활과 직접 관계도 없는 인격훈련이나 단결훈련 같은 것을 하고 앉아 있겠느냐고 배격하는 사람도 없지 않을 것입니다. 그러나 나는 오히려 바로 지금이야말로 인격을 훈련하고 단결을 훈련해야 한다고 믿고 있고 또 바로 이 인격훈련과 단결훈련을 하고 안하고에 사활이 걸려있다고 믿습니다. 세상의 모든 일은 힘의 산물입니다. 힘이 적으면 일을 작게 이루고, 힘이 크면 크게 이루며, 도무지 힘이 없으면 일은 하나도 이룰 수 없습니다. 그러므로 누구든지 자기의 목적을 달성하려면 먼저 그 힘을 찾아야 할 것입니다. 만일 힘을 떠나서 목적을 달성하려고 한다면 너무도 공상적입니다. 청년들이여, 일은 힘의 산물이라는 것을 확실히 믿습니까? 만일 이것을 믿고 힘을 찾는다면 그 힘이 어디서 오겠습니까. 힘은 건전한 인격과 공고한 단결에서 난다는 것을 나는 확실히 믿습니다. 그러므로 인격훈련, 단결훈련 이 두 가지를 청년들에게 간절히 요구하는 바입니다.


우리는 우리의 사활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무엇을 하다가 실패하면 그 원인을 여러 가지로 찾아보고 여러 가지로 변명해 보기도 합니다. 그러나 모든 일의 실패의 근본 원인은 우리의 민족적인 결합력이 부족한 탓입니다. 우리가 일찍이 패망한 것은 바로 이러한 원인 때문입니다. 앞으로도 우리는 요지부동하고 사귀일철(死歸一轍)할 굳센 민족적 결합이 있은 후에 라야 민족적 성공을 기대할 수 있을 것입니다. 다시 강조해서 말하자면 민족적인 결합력이 선결 문제요, 이론과 방침은 둘째 문제인 것입니다. 만일 결합력이 공고하기만 하다면 그 결합체가 때에 따라 방침과 계획은 수정해 가면서 능히 목적을 도달하는 데까지 나아갈 수 있을 것입니다. 결합된 힘이 없고서는 아무리 좋은 방침이 있더라도 이를 실행할 수 없지 않겠습니까. 오늘의 우리 민족은 단체 생활의 훈련이 부족한 민족인 것을 인정하지 않을 수 없다. 그러므로 다른 나라 사람보다 특별히 단결을 훈련하여 공고한 대 결합력에 이르도록 힘써야 할 것입니다.


또한 단결훈련 문제보다도 인격훈련에 있어서는 더욱 냉담 시하는 사람이 많은 줄 압니다. 이것은 크게 잘못된 생각입니다. 이 시대에 일어나고 있는 세계 각종 사회 운동을 보면 그 운동이 성공적으로 힘 있게 진행되고 있는 것은 운동을 이끌고 있는 건전한 인격을 가지고 있는 사람이 많기 때문입니다. 어떤 운동에서든지 운동이 쇠퇴하고 실패하는 것은 다른 원인도 있겠지만 건전한 인격을 갖춘 사람이 많지 않은 것이 원인 중에 하나입니다.

  

우리가 일찍이 일정한 목적을 표방하고 단체를 조직하였으나, 실제로 힘 있는 운동이 되지 못하고 간판만 남게 된 것이 매우 유감스럽습니다. 우리는 이제 그 원인이 어디 있는가를 깊이 깨달아야 합니다. 조직에 합당한 지식, 조직에 합당한 신의, 이것을 갖춘 인격자가 없는 것이 큰 원인 중의 하나 입니다. 단결의 신의를 굳게 지키며, 조직적 지식을 가진 사람이 없고서는 간판 운동이 아닌 실제적 힘이 있는 운동을 할 수 있는 결합을 이루기란 절대로 불가능합니다. 그런즉, 우리가 일제 압제로부터 벗어나고 독립으로 나아가기 위하여 할 일이 많지만 대한의 청년들이 인격훈련과 단결훈련이 큰 관계가 있다는 점을 깊이 깨닫고 ‘나는 오늘부터 인격훈련과 단결훈련에 매진하겠다’는 결심을 가지길 바랍니다.


기본적인 인격은 어떠한 것이며, 훈련의 구체적인 방법은 무엇인가 하는 것과 단결훈련의 실제가 무엇인가 하는 등의 이론과 방침에 대한 연구는 뒤로 미루기로 하고, 여기서는 다만 대한의 청년들이 인격훈련과 단결훈련이 필요하다는 점만을 분명하게 깨닫기를 바라며 오직 인격을 훈련하되 혼자서 하지 말고 이것부터 협동적으로 훈련하여 전 대한의 산과 들은 물론이고 인격훈련을 목표로 하는 운동이 펼쳐지기를 바랍니다.

* 원문참조 <동광> 1931년 2월호  청년(靑年)에게 부치는 글(안도산 전서 1990년 발행 중권 29쪽)



◎ 해설

이 말씀은 1931년 2월에 발행된 월간지 <동광>에 실린 ‘청년에게 부치는 글’ 가운데 하나입니다. 역사적으로 1931년은 일제 치하의 가장 암울하고 혹독한 시기에 해당됩니다. 이 때 우리민족은 참담하고 비통한 고해의 바다를 떠돌고 있던 시기였습니다. 그야말로 민중들은 절망하고 방황하며 주저하고 있던 시기였습니다. 그러나 도산 선생은 바로 이러한 시기에 대한의 청년들을 향해서 ‘세상의 모든 일은 힘의 산물’이란 점을 일깨우며 ‘힘이 적으면 일을 작게 이루고, 힘이 크면 크게 이루며, 도무지 힘이 없으면 일은 하나도 이룰 수 없다’는 점을 강조합니다. 그리고 그 힘은 바로 건전한 인격과 공고한 단결에서 난다는 것을 가르칩니다.

 ‘그 힘이 어디서 오겠습니까. 힘은 건전한 인격과 공고한 단결에서 난다는 것을 나는 확실히 믿습니다. 그러므로 인격훈련, 단결훈련 이 두 가지를 청년들에게 간절히 요구하는 바입니다’


우리 민족의 모든 역사적인 운동의 실패 원인은 단결력이 부족한 때문이며 이제부터라도 단결훈련을 해서 힘을 기르자고 강조하는 것입니다. 그리고 실제로 힘이 있는 사회 운동이 되기 위해서는 건전한 인격체들이 모여 결합력을 이루어야 성공할 수 있다는 점을 동시에 강조하십니다.

 

‘우리가 일찍이 일정한 목적을 표방하고 단체를 조직하였으나, 실제로 힘 있는 운동이 되지 못하고 간판만 남게 된 것이 매우 유감스럽습니다. 우리는 이제 그 원인이 어디 있는가를 깊이 깨달아야 합니다. 조직에 합당한 지식, 조직에 합당한 신의, 이것을 갖춘 인격자가 없는 것이 큰 원인 중의 하나 입니다. 단결의 신의를 굳게 지키며, 조직적 지식을 가진 사람이 없고서는 간판 운동이 아닌 실제적 힘이 있는 운동을 할 수 있는 결합을 이루기란 절대로 불가능 합니다’


21세기, 흥사단 운동이 간판만 남는 운동이 아닌 살아서 움직이며 사회를 변화 시켜 낼 수 있는 단체로 거듭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인격훈련과 단결훈련이 강조됩니다. 청소년들은 각자 정해진 위치에서 도산선생의 말씀을 따라 인격훈련과 단결훈련에 매진하여야 하겠습니다.  (풀어쓰기 및 해설 이은숙)

출처 : 무실역행
글쓴이 : 애기타 원글보기
메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