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크랩] [경향] 기로에 선 신자유주의, 마르크스와 하이예크의 금융위기를 보는 두개의 시각 [기로에 선 신자유주의]금융위기를 보는 두개의 시각 노동·자본간 불평등 심화…금융 독재는 역사적 침몰 금융위기 속 ‘마르크스의 반격’ “역사는 종말을 고했다. ‘우파의 이념적 승리’는 완료됐고, 모두가 만족한 가운데 자본주의는 사회구조의 결정적 형식으로 굳어졌다.” 우리를 거의 설득.. 삶, 사람들 그리고 우리/읽을거리, 생각거리 2009.02.02
[스크랩] [한겨레] 세르게이 수티린과 대담 ‘경제 불균형’ 세계확산 막을 시스템 없었다 ‘경제 불균형’ 세계확산 막을 시스템 없었다 [2009 특별기획] ‘대전환’의 시대 최우성 기자 » 김석환(47·왼쪽) 세르게이 수티린(56·오른쪽) 세계 석학과의 세번째 대담에서는 러시아 쪽의 시각을 담아봤다. 전례없는 경제위기를 계기로 미국 주도의 신자유주의 질서에 균열이 나타나고 있는 지금.. 삶, 사람들 그리고 우리/읽을거리, 생각거리 2009.02.02
[스크랩] [한겨레] 아글리에타 교수와 대담, 빚에 의존한 ‘거품성장’이 이번 위기 불렀다 아글리에타 교수의 ‘조절이론’ 자본주의 불안정성 폭발하면 새로운 ‘성장체제’로 변화발전 최우성 기자 미셸 아글리에타(70) 교수는 평생토록 현대 자본주의 ‘동학이론’을 정립하는 데 온 힘을 기울여 왔다. 아글리에타 교수는 자본주의란 안정적이고 균형적인 상태의 ‘단힌’ 시스템이 아니.. 삶, 사람들 그리고 우리/읽을거리, 생각거리 2009.02.02
[스크랩] [한겨레] 이매뉴얼 월러스틴과 대담, 자본주의 어디로 가나? [세계 석학과의 대담] 자본주의 어디로 가나? 류재훈 기자 이세영 기자 » 8 지난해 전세계를 휩쓴 금융위기는 1980년대 이후 진행된 투자금융 중심의 자본주의 발전모델에 대한 비판과 반성의 기회를 제공해주고 있다. 고삐풀린 시장과 자본의 폭주로 특징되는 신자유주의적 질서가 허물어지고 그 자.. 삶, 사람들 그리고 우리/읽을거리, 생각거리 2009.02.02
"우리는 불행으로 동맹을 맺었다" 작가 조세희 "우리는 불행으로 동맹을 맺었다" "이 땅에서 바로 이 시간에 '행복하다' 믿는 사람이 있다면 그는 다음 두 부류 중 하나다. 하나는 도둑이고 하나는 바보다." "'난쏘공' 작가의 말에도 썼지만 철거민의 집을 방문한 날이었다. 식사라도 같이 하자며 국을 끓여 먹는데 철거반이 퉁 하고 밀어붙였다. 그래.. 삶, 사람들 그리고 우리/읽을거리, 생각거리 2009.01.22
[기사 요약 스크랩]재벌에 팔아먹은 국가안보 재벌에 팔아먹은 국가안보 1. 공군 성남기지의 전략적 중요성 1) “뭐, 서울공항 옮기라고” 공군 술렁 MB, 경제 위해 군부대 이전 발언 후폭풍 “성남기지 가치 모르는 군 통수권자” 분노 http://www.donga.com/docs/magazine/weekly/2008/05/13/200805130500013/200805130500013_1.html [북핵 위기가 계속되고 있는 지금 한국에 가.. 삶, 사람들 그리고 우리/삶의 편린들(개인글) 2009.01.21
[번역]존 피스크 입문 - 일상의 실천과 저항 사이의 대중문화 존 피스크 John Fiske - 일상의 실천과 저항 사이의 대중문화 지빌레 니키쉬(Sibylle Niekisch) 존 피스크는 1939년 태어났다. 캠브리지 대학에서 석사 과정을 마친 후 1979년부터 1981년까지 영국과 호주의 커뮤니케이션 대학원(Advanced Level Communication) 심사위원회에서 외부 고문으로 활동했다. 그는 한동안 호주 커.. 삶, 사람들 그리고 우리/[번역] 2009.01.15
[세계는 지금]이스라엘 군 팔레스타인 가자 지구 공습(2008. 12. 29) 가자(Gaza) 시내에서 안보국과 이슬람 하마스(Hamas) 수용소가 있던 건물에서 이스라엘 군의 폭격 후 연기 구름이 솟아오르고 있다. 이스라엘 공군에 의해 폭격 당한 가자 시의 모습 이스라엘 공군의 공습으로 파괴된 차에 앉아 밖을 내다보고 있는 아이들 공습으로 인해 파괴된 가자 시내 이슬람 대학 탱.. 삶, 사람들 그리고 우리/세계는 지금 2008.12.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