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숭고함'(das Erhabene)과 (탈)현대의 미학적 전통 '숭고함'과 (탈)현대의 미학적 전통 '숭고미'(das Erhabene)는 리오타르에 의해 (탈)현대의 미학적 핵심 개념으로 부각되면서 새롭게 조명을 받게 된 개념이다. 그러나 숭고미는 이미 Loginus, Edmund Burke, Kant 등에 이르는 미학적 전통을 가지고 있다. 전통적으로 숭고 혹은 장엄함은 언제나 '아름다움'(das Schoene).. 철학의 세계/미학 2008.07.23
[펌]진중권 - 숭고와 시물라크르 숭고와 시물라크르 진 중 권 한때 '미'와 함께 미학적 성찰의 중심을 이루다가 헤겔 이후 사라진 '숭고.' 이 미적 범주가 최근에 부활했다. 료타르가 대상성을 상실한 현대 예술의 정신을 '숭고'의 미학으로 규정한 이후, 최근 이 잊혀졌던 개념에 대한 논의가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20세기에 들어와.. 철학의 세계/미학 2008.07.23
[스크랩] 필립 라쿠-라바르트「숭고한 진실」 리뷰&칼럼 > 다른 공간, 다른 음악 정치적 범주로서의 숭고 [인문학 리뷰] 필립 라쿠-라바르트「숭고한 진실」 2007-02-23 오전 10:41:27 [이재원 _ 그린비 편집장] ▲ 『숭고에 대하여: 경계의 미학, 미학의 경계』(문학과지성사, 2005) 내겐 조만간 읽을 계획이 없는데도 책을 사두는 버릇이 있다. 출판 자체가.. 철학의 세계/미학 2008.07.23
[스크랩] 제2장 칸트의 취미 판단 분석 제2장 칸트의 취미 판단 분석 제1절 취미판단은 미감적이다. 1. 논증 가능한 명제 "취미판단은 미감적이다." 칸트는 이 주장이 판단들의 한 부류(즉 취미판단)가 지닌 뚜렷한 특징들 중의 하나를 박혀 준다고 생각한다. 2. 《순수이성비판》에서 본 "감성적"이라는 말 《순수이성비판》의 .. 철학의 세계/미학 2008.07.23
[스크랩] 김광우의 <리오타르는 『지식인의 종언』에서 모더니즘을 숭고한> www.misulmun.co.kr 에서 리오타르는 『지식인의 종언』에서 모더니즘을 숭고한 17세기 말에서 18세기 말까지 예술적 반성에서 주요 쟁점이 된 것은 ‘숭고한 감정 sentiment du sublime’이었다. 칸트는 우리에게 있는 이런 감정을 강력하고 모호한 감동으로 보고 쾌와 불쾌를 동시에 생기게 한다고 했는데 좀 더 .. 철학의 세계/미학 2008.07.23
[스크랩] 류가미의 문예기행(25)-독일 낭만주의와 민족주의 숭고의 미학, 인간을 초월한 절대적 존재를 찾아서 [류가미의 문예기행(25)- 독일 낭만주의와 민족주의] 오늘은 낭만주의에 영향을 미친 칸트의 철학에 대해서 이야기해볼까 합니다. 사실 칸트는 유럽의 철학과 도덕 그리고 미학을 바꾸어놓은 사람이었습니다. 그는 ‘숭고(sublime)’라는 새로운 미학적.. 철학의 세계/미학 2008.07.23
[스크랩] 김광우의 <칸트는 『숭고와 미의 감정에 관한 고찰들』에서> www.misulmun.co.kr 에서 칸트는 1764년 『숭고와 미의 감정에 관한 고찰들』에서 칸트Immanuel Kant(1724-1804)는 1764년 『숭고와 미의 감정에 관한 고찰들 Beobachtungen uber das Gefuhl des Schonen und Erhabenen』(영어로는 Observations on the feeling of the Sublime and Beautiful이다)에서 18세기 초반의 전통과 영국 예술론가 샤프츠베리와.. 철학의 세계/미학 2008.07.23
Thomas Meyer - 드라마 된 TV 정치뉴스 脫정치화 불렀다 “드라마 된 TV 정치뉴스 脫정치화 불렀다” 도르트문트 대학 정치학과 토마스 마이어 교수 "현대 매스미디어 사회에서 정치가 알맹이를 잃어버린 채 스스로 '미디어화'하고 있으며 그 결과 '탈정치화' 현상이 나타나고 있습니다. 때문에 언론인은 사회적 이슈를 진지하고 깊이 있게 보도하기 위해 윤.. 철학의 세계/미디어의 철학 2008.07.22
[스크랩] 하이퍼텍스트, 가상현실 하이퍼텍스트, 가상현실 이 남 표 2002년 10월 / 2005년 3월 일부 수정 0. 하이퍼텍스트 * 이재현(2000), ≪인터넷과 사이버사회≫, 서울: 커뮤니케이션북스, pp.82~108 참고.1) 1. 가상현실이란 무엇인가? ‘가상현실(virtual reality)’2)이란 무엇인가? 스토이어(Steuer, 1995: 33~34)는 가상현실이 전화나 텔레비전처럼 .. 철학의 세계/미디어의 철학 2008.07.05
[시리즈]고전 다시 읽기 1 [고전다시읽기] 마르크스는 이데올로그가 아니다/이진경 알튀세르의 <맑스를 위하여> http://www.hani.co.kr/arti/culture/book/124659.html [고전다시읽기] ‘인식’-‘재인식’의 대화 새역사로의 진보 되길 / 김기봉 E.H.카의 <역사란 무엇인가> http://www.hani.co.kr/arti/culture/book/106137.html [고전다시읽기] 현실.. 철학의 세계/고전다시읽기 2008.06.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