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크랩] 맥루한의 미디어의 29가지 이해 마샬 맥루한 미디어의 이해(Understanding Media) 1. 미디어는 메시지다. 모든 미디어는 우리 자신의 확장이며, 이 미디어의 개인적 및 사회적 영향은 우리 하나하나의 확장, 바꾸어 말한다면 새로운 테크놀로지 하나하나가 우리에게 도입되는 새로운 척도로서 측정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2. 모든 미디어의 내.. 철학의 세계/미디어의 철학 2008.05.16
[스크랩] [교육공학] 마샬 맥루한-핫미디어,쿨미디어 핫미디어 hot media / 쿨미디어 cool media * 핫 미디어 [hot media] - 커뮤니케이션 미디어의 한 유형으로 전달하는 정보의 정세도(精細度: definition)는 높아서 수용자의 낮은 참여도(participation)를 요구하는 매체. 라디오·영화·서적·사진 등이 이에 속한다. 한편 이와는... 철학의 세계/미디어의 철학 2008.05.16
[스크랩] 베이컨과 동굴의 우상 베이컨과 동굴의 우상 귀납적 방법이란? - 똑같은 일이 되풀이 해서 나타날 때 비로소 경험적 지식이 만들어지고, 또 정당화될 수 있다. 귀납의 문제에 대한 세가지 비판 1. 떨어지는 사과가 만유인력의 법칙을 정당화해 주는 증거가 되지만, 그렇다고 사과 떨어지는 걸 수천 번 수만 번 관찰하고 경험한.. 철학의 세계/철학의 바다 2008.05.16
[스크랩] 버클리 주교 [자린고비 영감과 버클리 주교〕 1. '존재란 지각된 것'이라는 명제의 의미는? 2. 로크의 '제1성질'에 대한 버클리의 비판 - 물질적 대상이 우리의 지각이나 경험에서 독립해 따로 존재할 수 없다. 3. 버클리와 이솝의 대화 a 버클리 : 사과의 존재는 우리가 그것을 지각하는가 여부에 달려 있다. 이솝 : 자.. 철학의 세계/철학의 바다 2008.05.16
[스크랩] 과학자의 청소부, 로크 과학자의 청소부 로크 인간은 백지 상태로 태어난다.- 인간에겐 어떠한 생득 관념도 없다. tabula rasa(백지) - 백지상태로 태어난 인간의 정신 인간의 정신이 백지상태로 시작된다면 인간 정신(오성, Understanding)에 들어 있는 많은 관념과 말, 생각과 지식은 어디서 얻어지는 걸까? 정신이 갖고 있는 모든 추.. 철학의 세계/철학의 바다 2008.05.16
[스크랩] 후설의 판단중지 〈다시 쓰는「지킬 박사와 하이드 씨」〉 "지킬 박사와 하이드가 같은 사람이었다니. 이 편지를 보고 제가 얼마나 놀랐는지 짐작할 수 있겠지요? 그 두 사람에게 도대체 어떤 공통점이 있는 걸까요? 하지만 그 끔찍한 사실을 알게 되자 모든 것들이 이해되기 시작했습니다. 하이드가 지킬의 수표를 사.. 철학의 세계/철학의 바다 2008.05.16
[스크랩] 국부론/강유원 아담 스미스의 생몰연대(1723-1790)를 염두에 둔다면, 그가 여전히 의미있게 인용되는 것은 참으로 의아한 일이다. 생전에 그는 '경제학자'가 아니었다. 그는 윤리학 교수였을 뿐이다. 그는 오늘날 수많은 경제학 저서에서 인용되고 있다. 그런데 학술저서에서 인용되기는 플라톤이나 스미스나 마찬가지.. 철학의 세계/철학의 바다 2008.05.16
[스크랩] 자유주의자가 본 하이에크/박종찬 자유주의 사상가 列傳 1 - 프리드리히 폰 하이에크 「사회주의, 즉 나치즘」이란 점을 간파하다 ●젊은 시절 사회주의에 관심, 빈 대학에서 미제스의 영향으로 자유주의자로 전환 ●1930년대 이래 케인즈 學派의 대두로 오랫동안 외면받다가, 1970년대 이후 케인즈 이론의 한계가 드러나면서 각광 ●『자.. 철학의 세계/철학의 바다 2008.05.16
[스크랩] 잡글>노자와 한비 노자와 한비 비교 Ⅰ. 들어가는 말 『史記』는「신불해와 한비가 노자와 장자에 사상적인 기원을 두고 있다」고 하고, 실제로 『한비자』에는 도가의 영향을 받은 흔적이 많은 것이 사실이다. 이 중에서도『韓非子』의 「解老」편은 완정하지는 못하더라도 부분적인 章節이나 文句가 문헌에 전하는 .. 철학의 세계/철학의 바다 2008.05.16
[스크랩] 잡글>서화담 기철학의 현대적 의미 서화담 기철학의 현대적 의미 1. 들어가며 한사람의 사상을 공부할 때 자기시대와의 연관성상에서 살펴보는 것은 당연하다. 서화담의 사상 역시 예외는 아니다. 그의 사상을 통해 현대의 문제를 해결하는 하나의 실마리를 찾을 수 있다면 더할 나위 없이 좋은 일일게다. 현대에 있어서 우리가 직면하고.. 철학의 세계/철학의 바다 2008.05.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