철학자와 그의 사상 112

[스크랩] 맑스와 루만의 경제시스템 개념과 현실

맑스와 루만의 경제시스템 개념과 현실 진보평론 제15호 하노 팔(Hanno Phal)(브레멘대학 사회학과 박사과정) * 번역: 박장현?브레멘대학 철학과 박사과정 1. 도입 이 글은 필자의 석사논문과 박사논문계획서에 담긴 고찰들을 요약하고 있다. 이 글이 기안의 성격을 띠고 있다는 사실을 다시 한번 주지할 ..

[스크랩] 20세기와 잃어버린 마르크스주의

20세기와 잃어버린 마르크스주의 임지현 (한양대 사학과 교수) 이윤을 동기로 움직이는 사회는 정말 끔찍하다. 그러나 행복을 강요하는 사회는 더 끔찍하다. -레셰크 코와코프스키Leszek Kolakowski 노동 운동이 정말 새롭게 다시 시작하려면 초현실주의자들의 유명한 슬로건인 '노동 타도!'가 핵심 슬로건 ..

[스크랩] 맑스주의 경제학 역사의 올바른 이해를 위하여

평논문 맑스주의 경제학 역사의 올바른 이해를 위하여 정 성 진 경상대 교수, 경제학 1. 머리말 이 글은 얼마전 호워드(M.C.Howard)와 킹(J.E.King)이 두 권으로 출간한 ?맑스 경제학의 역사? (A History of Marxian Economics, vol. Ⅰ, 1883-1929, Macmillan, 1989; A History of Marxian Economics, vol.Ⅱ, 1929-1990, Macmillan, 1992)를 읽고 느..

[스크랩] 맑스, 비판의 에피스테몰로기

맑스, 비판의 에피스테몰로기 곽노완 1. 들어가는 말: ‘비판’의 에피스테몰로기(Epistemologie)1) 맑스의 저작 󰡔�자본󰡕�의 부제는 󰡔�정치경제학 비판󰡕�이다. 흔히 맑스주의 경제학을 지칭하는 용어로 이해되는 정치경제학은 사실 맑스의..

[스크랩] 마르크스주의와 영화(Marxism and Film)

아래의 글은 John Hill과 Pamela Church Gibson이 편집한 저서 『The Oxford Guide to Film Studies』(Oxford University Press, 1998)에 수록된 Chuck Kleinhans의 「마르크스주의와 영화 Marxism and Film」를 번역한 것이다. --편집자 주 마르크스주의와 영화(Marxism and Film) 번역 : 정영권(esprit@cinefocus.co.kr) 마르크스가 영화관에 갔던 적은..

[스크랩] Antonio Gramsci의 생애와 사상

Antonio Gramsci의 생애와 사상 - 노동운동과 그람시 이종래(경상대학교 사회과학연구원 연구교수) 1. 들어가면서: 그람시 사상의 배경 안토니오 그람시는 이탈리아 반도의 최남단인 자르디니아 지방인 알레스(Ales)에서 1891년 출생하여 1937년에 죽었다. 이태리 공산당 활동을 한 대가로 1927년부터 1937년까지..

[스크랩] 알튀세르의 이데올로기론

알튀세르의 이데올로기론 - 양석원과 지젝의 문제제기를 중심으로 진보평론 제8호 최원(뉴욕 New School대학교 철학과/ 석사과정) 슬라보예 지젝은 자신의 저서 ?이데올로기의 숭고한 대상?*주)에서 이데올로기를 설명하기 위해 라캉의 이론을 적극적으로 도입하면서 알튀세르 및 그의 제자들의 이데올..

[스크랩] 로자 룩셈부르크: “프롤레타리아의 이야기는 아직 시작되지 않았다”

로자 룩셈부르크: “프롤레타리아의 이야기는 아직 시작되지 않았다” 고 병 권 1. “로자 룩셈부르크의 정치적 행동은 그녀의 이론과 모순된다” 맑스주의에 대해서 이야기 할 때, 빠지지 않는 단골 서두는 동구 사회주의권의 몰락이다. 사회주의 실험의 실패라는 충격이 너무나 커서 그에 대해 벌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