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크랩] 스투디움과 푼크툼 구칸이형 블로그에서 퍼왔습니다. 이런 사진들을 볼 때마다 사진을 배우고 싶다는 생각을 하게 됩니다. 이름자나 들어 보았을 [ 롤랑 바르트 ] 개념까지.......ㅠ.ㅠ 솔직이 이야기 하면 이 글을 읽고서야 누구냐고 알아 봤습니다. 뿐입니까 저 말들은 도대체 무신 말들인지.....에쿵 무식한 돌탱이........... 철학자와 그의 사상/롤랑 바르트 2008.12.05
[스크랩] 롤랑 바르트 - 언어에 대한 역사적 관심에 대한 흔적 롤랑 바르트 (Roland Gérard Barthes) : 프랑스의 구조주의 철학자이자 비평가 소설, 영화, 만화, 사진, 패션 등 현대사회를 상징하는 다양한 상징들에 대한 '읽기'를 시도하며 1960년대 이후 프랑스를 중심으로 한 현대문학과 이론의 모든 전위적 움직임에 중심부에 있었다고 평가받는 인물이다.롤랑 바르트.. 철학자와 그의 사상/롤랑 바르트 2008.12.05
[스크랩] 오태환의 <경계의 시읽기>리뷰 / 장석주 좋은 시인의 좋은 산문 / 장석주 -『경계(境界)의 시읽기』, 오태환, 고려대학교출판부, 2008 장 석 주 『장자』에서 포정의 우화가 나오는 「양생주(養生主)」 대목이 늘 흥미롭다. 포정은 소를 잡는 백정이다. 그 솜씨가 얼마나 숙달되었는지 소의 몸통을 가르는 칼의 움직임이 마치 상림(桑林)의 무악(.. 문학의 세계/한국 문학 2008.12.05
[스크랩] 아수라의 세상을 건너는 노래의 개별성 / 김남호 아수라의 세상을 건너는 노래의 개별성 ―김훈의 『칼의 노래』와『현의 노래』를 중심으로 김 남 호 [1] 대저 ‘노래’란 무엇인가? 현상을 꿰뚫은 뒤 드러나는 진실의 다른 이름인가, 교감으로서의 울림의 다른 이름인가, 아니면 그윽한 통찰의 다른 이름인가, 그도 저도 아니면 한낱 유한한 존재들.. 문학의 세계/한국 문학 2008.12.05
[스크랩] 신영복의 『감옥으로부터의 사색』 / 김남호 신영복의 『감옥으로부터의 사색』 김 남 호 대저 감옥이 무엇인가. 죄수가 갇혀있는 공간이 아닌가. 죄수란 누구인가. 당대의 이데올로기를 수용하지 못한 체제의 부적응자가 아닌가. 어느 시대나 불온한 섬으로서의 감옥이라는 공간은 삶의 의미를 명과 암으로 극명하게 나누어 버리는 탓에 삶의 .. 문학의 세계/한국 문학 2008.12.05
[스크랩] 날이미지시와 무의미시 그리고 예술 / 오규원 대담 날이미지시와 무의미시 그리고 예술 오규원 / 이재훈 대담 ▶이재훈:오랫동안 병 중이신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현재 양평 서후리에서 창작과 요양을 하고 계신데요. 건강은 어떠신지요? 근황을 여쭙고 싶습니다. ▷오규원:내 지병은 폐기종이라는 만성질환입니다. 간단하게 말하면 숨 쉬는 기능이.. 문학의 세계/한국 문학 2008.12.05
[스크랩] 관념의 시와 몸의 시 / 김남호 『서시』(2008. 가을호) 관념의 시와 몸의 시 ―김백겸 시집 『비밀정원』(천년의시작, 2008) ―윤관영 시집 『어쩌다, 내가 예쁜』(황금알, 2008) 김 남 호 1. 자본의 바다를 떠도는 사유의 뗏목:『비밀정원』 김백겸의 『비밀정원』은 요즘 나온 다른 시인들의 시집과는 여러 가지 점에서 다르다. 환상을 .. 문학의 세계/한국 문학 2008.12.05
[스크랩] 도정일의 <시장전체주의와 문명의 야만> 리뷰 /고명섭 시장전체주의와 문명의 야만 도정일 지음 / 생각의나무·6800원 문학평론가 도정일(67) 경희대 명예교수가 새 저서 <시장전체주의와 문명의 야만>을 내놓았다. 지은이는 여러 매체에 왕성한 필력으로 글을 써왔지만, 그 글들을 묶어 책으로 펴내는 데는 극도로 인색한 모습을 보였다. 대담집이나 공.. 문학의 세계/[스크랩]신간 서평 모음 2008.12.05
[스크랩] 〈추의 역사〉움베르토 에코 지음 '추한 것'에서 미학은 완성된다 -〈추의 역사〉움베르토 에코 지음·오숙은 옮김/열린책들·5만5000원 무엇이 '추'(醜)인가. 아름다움의 결핍인가, 악의 표상인가. 아니면 혐오와 역겨움을 불러일으키는 속성들의 총체인가. 움베르토 에코의 <추의 역사>가 출간 1년 만에 우리말로 번역됐다. 비례와 .. 철학의 세계/미학 2008.12.05
[스크랩] 초현실주의와 몸의 상상력 / 조윤경 지음 [책 소개] 초현실주의와 몸의 상상력 | 조윤경 지음| | 2008/04/28 프랑스 시사(詩史)에 의미 있는 획을 그은 두 시인 로트레아몽과 아폴리네르 이래로 초현실주의자들의 ‘몸’에 관한 맹렬한 탐색은 시작되었다. 이렇듯 초현실주의자들에 의해 우리 몸은 끊임없이 절단되고, 왜곡되고, 다른 이질적인 요.. 이미지의 삶과 죽음/이미지의 사유, 사유의 이미지 2008.12.05